이진우 연구원은 "한일 갈등은 좁게 보면 역사 분쟁이지만 넓게 보면 기술분쟁"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일본 규제 대상이 확대되는 것은 주식시장이 지금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시그널"이라고 풀이했다.
일본이 ‘확전’에 나선다면 주식시장이 상당한 피해를 감수해야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소재, 부품에 대한 주요국의 비교우위지수(RCA, 1이상일 경우 비교우위로 평가)를 비교해 보면 소재뿐만이 아니라 부품 분야에서 일본과의 경쟁력 격차가 크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산업의 경우 작년 연말, 올해 연초의 사전 위협이 있어 왔지만, 일반 제조업에 쓰이는 부품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면서 "산업이 광범위하고 정확한 현황 파악도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이 국면으로 전개된다면 시장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반도체가 중심이 되는 기술분쟁만으로도 버거운 사안이지만 여타 산업으로의 무역보복이 현실화 된다면 분쟁의 손익계산서는 매우 복잡해진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