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불확실한 주변 상황으로 인해 단기간 내 재고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미중 무역 협상과 화웨이 관련 이슈로 인해 하반기 수요 회복 추정치의 변경은 불가피할 예정이다.
이 연구원은 “화웨이에 대한 마이크론의 반도체 공급 보이콧으로 인해 국내 메모리 양사에 대한 긴급 주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국내 업체들의 출하량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러나 동시에 마이크론의 재고는 더욱 쌓이게 된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한다”며 “늘어난 재고는 결국 하반기는 물론이고 심지어 내년 상반기까지도 메모리 가격 회복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디램(DRAM) 가격의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은 매출액 6조3000억원, 영업이익 7500억원으로 1분기 대비 각각 7%, 45% 감소할 것”이라며 “DRAM과 낸드(NAND)도 가격 하락세가 회복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서버용 DRAM 재고가 예상만큼 줄어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 기대했던 데이터센터 수요 회복도 불확실하다”며 “하반기에도 DRAM 가격 하락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마지막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최근의 여러 이슈들은 반도체 산업에 상당한 역풍이 될 것”이라며 “결국 업황 회복은 예상보다 늦어지고, 개선폭도 줄어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간 문제와 관련해서 극적 반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내년 실적의 개선 폭도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