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독일을 포함한 8개국과 함께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유지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미 최악으로 치달은 미중 무역갈등의 추가 악화를 피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고 NYT는 분석했다.
이번에 환율관찰대상국에 포함된 국가는 한국과 중국, 독일과 일본, 말레이시아와 이탈리아, 베트남과 아일랜드, 싱가포르 등이다.
미 재무부는 다만 “중국의 환율 관행이 상당히 우려된다”며 “중국 정부의 환율 관리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1년간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가 8%나 급락한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4190억 달러로 급증한 바 있다.
미 재무부는 “미국의 대규모 대중 무역적자는 중국의 지속적이고도 광범위한 비관세 장벽과 비시장적 메커니즘, 국가 보조금과 기타 불공정 관행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관행은 중국의 교역 및 투자 관계를 갈수록 왜곡할 뿐만 아니라, 수입된 재화서비스에 대한 시장접근과 중국 수요를 제한하면서 중국의 무역흑자 폭만 늘려준다”고 덧붙였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