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디지털 혁신 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웰뱅 통해 업권 디지털 선도

유선희 기자

ysh@

기사입력 : 2019-04-01 00:00 최종수정 : 2019-04-01 08:14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디지털 혁신 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웰뱅 통해 업권 디지털 선도
[한국금융신문 유선희 기자]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 저축은행 업권 최초 모바일 풀 뱅킹 애플리케이션(앱) 웰컴디지털뱅크(웰뱅)를 내놨다.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중·저신용층과 중소자영업자 등 서민을 위한 주거래 저축은행으로서 발돋음했다는 평가와 더불어 저축은행 업권의 디지털 변환을 선도한다는 인정을 받고 있다.

웰뱅은 출시 11개월 만인 올해 3월 기준 앱 다운로드 수 50만건 돌파, 300만원 이하 간편이체 누적거래액은 1조원을 돌파하는 쾌거를 거뒀다. 웰컴저축은행 관계자는 “웰컴디지털뱅크의 선전에 타 저축은행에서도 모바일 풀 뱅킹앱 속속 개발 착수 및 출시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웰뱅 출범 1주년을 맞이하는 오는 4월 사용자 경험(UX) 및 사용자 이용편의(UI)를 개선한 웰컴디지털뱅크 리뉴얼(Renewal)도 예고했다.

웰뱅뿐 아니라 내부 시스템에도 디지털을 도입한 것도 눈에 띈다. 웰컴저축은행은 2014년 출범부터 CSS(신용평가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통신사 이용거래 실적인 Telco-Score 등의 비금융정보를 반영하여 자체 신용평가를 활용한 심사 시스템을 구축했다. 여기에 머신러닝 기법을 추가해 CSS를 더욱 고도화했다. 머신러닝 기반의 AI 챗봇 ‘웰컴봇’도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도입했다. 웰컴봇은 현재 답변률 80% 이상을 보이며, 영업시간 외 상담비율이 50%에 육박한다. 머신러닝 활용으로 유의어 사전, 문맥추론, 오탈자 보정 등 고도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챗봇의 특징이 이용자가 많을 수록 대화가 누적되면서 시스템이 더욱 정교해지는 것인데, 최근에는 챗봇 누적 이용자가 1만명을 넘으면서 점점 더 안정성이 강화되는 중이다.

지난해부터는 2금융권 최초로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프로그램인 WSA(Welcome StartUp Accelerating)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 10여곳을 선발하고 웰컴저축은행과의 협업을 진행해 지난 1월부터 웰뱅에 서비스를 일부 적용했다. 향후 웰컴저축은행은 웰뱅을 중심으로 한 생활밀착형 금융생태계를 조성해 자체 경쟁력을 키울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2016년부터는 공부하는 금요일을 통해 임직원이 IT, 블록체인, 금융,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프로그램 제공하고 있다. 외부 강사 초빙을 통해 임직원 교육이 이뤄지고 수업 참여가 어려운 직원들에게는 동영상을 제공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중이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