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전 10시30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2.79%(62.17포인트) 하락한 2166.44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장중 기준으로 작년 2200선을 넘어선 뒤 18개월 만에 다시 2100대로 내려앉았다. 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2.35%(52.45포인트) 떨어진 2176.16으로 장을 출발해 낙폭을 점점 키우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날보다 2.94%(21.95포인트) 하락한 725.55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전날 연저점을 경신한 직후 다시 크게 하락하고 있다.
전일 코스피는 직전 거래일보다 1.12%(25.22포인트) 하락한 2228.61로 장을 종료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8월16일의 연중 최저치(2240.80)를 경신했다. 코스닥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2.56%(19.65포인트) 떨어진 747.50으로 장을 마감했다. 작년 12월21일(740.32) 이후 가장 낮은 종가다.
연 이틀 국내 증시 약세장을 이끈 건 미국 등 대외 요인이다.
전날은 북미정상회담을 당초 시장 기대보다 늦게 열겠다는 도널드 트럼프닫기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을 11월 6일 중간선거 이후 열 것이며 3~4곳의 장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내 주가지수가 급락한 건 간밤 뉴욕 증시가 3%대 ‘폭락’ 장세를 보인 데 따른 여파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3.1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3.29%), 나스닥 지수(-4.08%) 등 주요 지수가 일제히 급락했다.
미국 국채금리가 3%를 웃도는 수준으로 상승한 데 따라 주식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됐고 기술주 실적 불안감이 부각됐다.
코스피가 역사적 바닥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임에도 전문가들은 저가 매수를 권하지 않는 분위기다.
김형닫기

하인환 SK증권 연구원은 “지금 문제는 밸류에이션이 통하지 않는다는 건데 지금처럼 대내외 변수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엔 금리-주가 추이 등 차트를 분석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며 “주가가 바닥에 근접하고 있으나 저가매수보단 경계감을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이라고 조언했다.
김수정 기자 suj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