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금통위원은 " 금리인상을 통한 통화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성이 상존한다"고 했지만 당시엔 금리 동결에 찬성했다.
B 위원은 "좀더 긴 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금융안정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위원은 "물가 상승률 확대 속도를 확인하며 그에 맞춰 인상 시점을 선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물가상승 압력이 커진다면 금리인상에 찬성할 수 있다는 의미다.
D위원은 "물가 기저 흐름에 대한 관찰이 기준금리 수준을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고 했다.
E 위원은 "거시경제의 하방위험을 완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경기 우려 목소리를 냈다.
한편 이일형 위원은 " 중기적 관점에서 물가갭을 최소화하려면 과도한 금융불균형의 누적을 억제하는 동시에 정책여력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취약계층의 소득 지원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수요압력도 견인되는 현 시점에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소폭 축소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여 투자유인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정책조화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면서 금리인상을 주장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