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홍철 연구원은 "미국 재무부의 환율 조작국 기준은 참고일 뿐으로 실제로는 정치적 타협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문 연구원은 "미중간의 무역전쟁은 11월 미국 중간선거를 앞둔 정치 쇼일 뿐이지만 쇼의 감동을 고조시키고 상대를 굴복시키기 위해서 위협은 극단 직전까지 갈 수 있다"면서 "따라서 11월 선거 직전까지 위협하기와 이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은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게다가 트럼프닫기

그는 "물론 이러한 이유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다면 경기 비관론자들은 ‘유일한 버팀목인 수출도 타격 받을 것이다’ 며 경기 비관론을 더욱 목 놓아 외칠 것이고 이는 고용 쇼크와 맞물려 설득력을 얻을 것"이라며 "그러나 소규모 개방경제는 수출과 환율이 펀더멘털과 유동성을 전적으로 좌우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환율 조작국 이슈에 따른 원/달러 환율의 하락은 국내 유동성을 늘리는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가뜩이나 과도한 유동성 때문에 부동산과 채권의 동반 강세 상황에 처해 있는데, 이를 통제하지 않으면 걷잡을 수 없는 유동성 과잉 하에서 부동산 가격 급등을 맞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내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패턴은 미국의 눈치를 보면서 올해 들어서 크게 변했다고 분석했다.
문 연구원은 "2017년까지는 한은의 선물환 개입과 한은+정부의 현물환 개입은 방향성이 일치했으나 2018년부터는 반대다. 이는 선물환 매수 개입의 실결제 영향을 중화시키기 위한 외환당국의 개입이라는 강한 의심이 든다"면서 미국에 꼬투리를 잡히지 않기 위해 개입에 신중을 기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