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약사회가 지난달 30 편의점 안정상비의약품 판매 확대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대한약사회 제공
대한약사회는 편의점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가 ‘의약품에 대한 탐욕’이라고 공세를 퍼붓는 가운데 편의점업계와 가맹점주들은 ‘공적 기능의 차원’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전편협)은 3일 입장자료를 내고 “최근 5년간 편의점 전체 매출에서 안전상비의약품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0.2%로 미비하다”며 “이를 탐욕으로 해석하는 약사회의 주장은 과장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한편협은 “1년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전국 3만500개 편의점은 병원과 약국이 문을 닫는 야간과 휴일에 사회안전망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며 “영국과 미국 등에서도 드럭스토어를 비롯해 약국이 아닌 곳에서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협에 따르면 약국이 문을 닫는 오후 11시부터 오전 8시까지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구매는 매년 30%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또 추석 기간 중 대부분의 약국이 문을 닫았던 10월 3~6일 상비약을 구매한 고객 수는 전년 동월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아울러 한편협은 대한약사회의 강도 높은 비방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앞서 약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편의점 가맹본부의 가맹수수료가 높다고 지적하며 한편협의 안전상비의약품 확대 찬성을 ‘탐욕’으로 표현한 바 있다.
한편협은 “안전상비약 판매에 대해 편의점업계를 탐욕스런 집단으로 표현하는 등 근거없는 일방적인 주장과 비난을 계속한다면 약사들의 ‘직역이기주의’라는 국민적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의 가맹점주들이 속해있는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전편협)도 이날 성명을 내고 “약사회에서 안전상비의약품 확대를 반대하는 것은 국민의 편리와 안전보다 섣불리 계산기를 두들긴 결과라고 여겨진다”고 비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오는 8일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지정심의위원회을 열고 ‘24시간 운영 편의점 안전상비약 추가’ 안건을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