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제도 폐지를 요구하는 투자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삼성증권의 우리사주 배당사고가 촉발한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자 수가 24만명에 도달한 가운데 금융당국이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사이트에 ‘삼성증권 시스템 규제와 공매도 금지’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청원은 24일 오후 7시 11분 기준 24만2286명의 참여 수를 기록하고 있다. 청와대가 공식 답변을 내놓아야 하는 한 달 내 20만명 참여 기준을 훌쩍 넘은 수치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6일 게시 후 일주일도 채 지나지 않은 10일 오전 참여자 20만 명을 넘어섰다. 청와대는 한 달 동안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은 청원에 대해 정부 및 청와대 관계자가 30일 내 공식 답변을 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최근 공매도 제도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김용범닫기


금융위는 공매도와 관련한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내달 중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 개선안과 관련된 검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나 현재로서는 밝힐 수 있는 게 없다”며 말을 아꼈다.
현행 공매도 제도는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장벽이 높아 현저히 불리하다는 게 업계 다수의 지적이다. 실제로 최근 한 달간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580억원으로 전체의 0.6%에 불과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9%, 31%에 달했다.
다만 금융위는 공매도 제도의 완전한 폐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종구 위원장은 “공매도 제도가 효용성과 유용성이 있기 때문에 무작정 폐지하자는 주장은 꼭 옳다고 보긴 어렵다”며 공매도 제도 폐지와 관련해 선을 그은 바 있다.
한편 삼성증권은 지난달 6일 우리사주 조합원에 현금배당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1주당 1000원의 배당금 대신 1000주의 주식을 입고했다. 이후 16명의 직원이 잘못 입고 처리된 주식 중 501만주를 매도하면서 장중 주가는 12%가량 급락하기도 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