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복인 KT&G 사장. KT&G 제공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G는 다음날 오전 10시 대전 인재개발원에서 정기 주총을 개최한다. 주요 안건으로는 백 사장의 연임안이 올랐다. 앞서 KT&G 사장후보추천위원회는 차기 사장후보로 백 사장을 단독 추천했다. 주총에서 연임안이 통과되면 백 사장은 향후 3년간 KT&G를 이끌게 된다.
백 사장은 KT&G의 전신인 한국담배인삼공사의 공채 출신 첫 최고경영자(CEO)다. 1993년 입사 이후 26년 동안 전략, 마케팅, 글로벌, 생산‧R&D 등 주요사업의 요직을 거쳐 2015년 KT&G 사장으로 취임했다.
당초 지난해 KT&G의 해외 매출 1조원 시대를 이끄는 등의 경영성과를 이룬 백 사장의 연임은 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국민연금과 기업은행이 백 사장의 연임에 제동을 걸며 상황이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국민연금은 KT&G 지분 9.09%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기업은행은 2대주주로 지분 6.93%를 가지고 있다. 나머지는 외국인 주주(53.18%)와 개인‧기타주주(28.56%) 등으로 이뤄져있다.
기업은행은 지난달 2일 KT&G의 지분 보유 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변경하면서 백 사장의 연임 반대 의견을 본격적으로 내기 시작했다. 단 이틀만에 사장 후보 접수가 이뤄진 점과 백 사장이 분식회계 의혹을 받고 있어 ‘CEO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KT&G는 지난해 7월 인도네시아 담배회사 ‘트리삭티’에 1534억원을 투자한 것과 관련 분식회계 의혹으로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정확한 의견을 밝히진 않았지만 지난달 KT&G 사추위 측에 백 사장이 받고 있는 분식회계 의혹과 사장 후보 추천 과정에 대한 설명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IBK기업은행 본점. IBK기업은행 제공
기업지배구조 관련 국내 민간 연구기관인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도 백 사장의 연임에 대한 찬성 의견을 밝혔다. 연구소는 “KT&G 사장 공모 절차 상 기간 등의 문제는 있었으나 백복인 후보를 반대할 만큼 흠결이 된다고 판단되지 않는다”며 “분식회계 의혹 역시 아직 사실관계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며 찬성 의견을 권고했다.
반면 국내 의결권 자문사인 서스틴베스트‧대신지배연구조연구소는 반대 의견을 밝혀 의결권 자문기관들 간의 결정도 엇갈리고 있다.
대신지배연구소는 ‘2018년 상장기업 임원 선임 특이안건 중간 점검’ 보고서를 통해 “금융감독원이 조사 중인 KT&G 분식회계 관련 조사 결과에 따라 향후 주주가치가 불투명하다”며 “향후 KT&G의 주주가치와 기업가치 사회적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 백복인 후보자가 사장 후보로서 결격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의 ‘관치’ 논란에 따라 개인‧기타주주들의 표결이 연임 찬성으로 쏠릴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백 사장의 연임에 반대 의견을 밝힌 기업은행의 최대주주는 지분 51.8%를 보유한 기획재정부다. 이에 KT&G 노조는 “정부가 지분 51.8%를 보유한 기업은행을 통해 KT&G 경영 개입에 나섰다”고 지적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