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삼성생명
삼성생명은퇴연구소는 일반인 1030명을 대상으로 자산관리 습관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와 같이 조사됐다고 밝히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실천해야 할 자산관리 습관’ 리포트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자산규모 1억 이하에서는 80%가 ‘할인혜택이나 사은품 때문에 물건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자산 10억 이상 계층은 64%에 그쳤다. 반면 ‘평소 영수증을 챙긴다’는 비율은 월 소득 1000만 원 이상 계층은 87%로 나타났지만, 월 소득 200만 이하에서는 65%에 불과했다.
또한 자산 규모가 클수록 금융기관 직원과 같은 전문가를 통한 정보 획득 비율이 높다는 결과도 나왔다. ‘언제든 상담 받을 수 있는 금융기관 직원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억 이하는 28%에 그친 반면, 10억 초과 계층에서는 60%로 높게 나타났다.
돈을 모으는데 필요한 것과 방해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소비와 관련된 항목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돈을 모으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검소한 소비습관’이 64%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서 ‘안정적인 직장’이 54%, ‘자신의 의지’가 49%로 뒤를 이었다.
반면 돈을 모으는데 방해 되는 것으로는 '충동구매 등 불필요한 지출'을 답한 사람들이 68%로 가장 많았다. 재산을 모으려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검소하게 소비하는 ‘절약 정신’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한편 보험 소비와 관련해 보험상품에 가입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는 ‘보장 내용’이라고 답한 비율이 97%로 압도적인 수치를 차지했다. '저렴한 보험료'와 '보장 기간'이 똑같이 68%를 차지해 2위권을 형성했다.
삼성생명은퇴연구소는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해야 할 자산관리 습관 List'를 발표했다. 리스트에서는 ▲'아끼고 덜 쓰는 것'이 최선이다 ▲1+1에 현혹되지 말아라 ▲관심 있는 상품은 공부하고 연구하라 ▲최적의 투자처를 꼼꼼하게 비교하라 ▲전문가를 직접 찾아가라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어라 등 6가지의 생활습관이 제시됐다.
삼성생명 조윤수 수석연구원은 "한국 경제가 저성장기로 접어든 만큼 재산을 축적하기 위해서는 자산관리 습관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자산관리 습관을 점검하는 표를 만들고, 실천해야 할 항목을 선택해 행동에 옮길 것을 추천한다"고 제언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