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정무위 소속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은 27일 정무위원회 회의 전 자체 분석자료를 통해 "GM 본사의 불합리한 '이전가격(transfer price) 정책'이 아니었으면 한국GM이 자본잠식이 아니라 1조원의 수익을 낼 수도 있었다"고 밝혔다. 한국GM이 GM 본사로부터는 부품을 비싸게 사오고 반대로 생산 제품은 GM에 싸게 공급했다는 것이다.
한국GM은 최근 3년 간(2014~2016년) 1조971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완전자본잠식에 상태가 됐다. 그러나 동기간 북미GM(GMNA)의 매출원가율을 적용하면 1조1438억원의 당기순이익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원가율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 투입되는 비용을 의미하는 지표다. 3년 간 한국GM의 매출원가율은 91.9%, 96.5%, 93.1%였다. 반면, 북미 GM의 매출원가율은 88.3%, 83.6%, 84.0%로 한국GM의 매출원가율보다 낮았다.
북미GM이 아닌 GM 전체의 매출원가율(91.4%, 87.9%, 86.9%)을 적용해도 한국GM은 1248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해 손실 규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GM은 앞서 매출원가율이 86.7%였던 지난 2013년에는 10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매출원가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이익이 손실로 전환됐다.
지 의원은 "한국GM의 매출 중 GM 본사의 관계사에 대한 매출이 65%를 차지한다"면서 "한국GM의 높은 매출원가율 원인은 '이전가격'에서 찾아봐야 한다"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이날 이동걸닫기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