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앵글 지엠 사장이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만나는 자리에서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에 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참가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지분대로라면 5100억원가량을 출자해야 한다.
만약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지엠이 한국에서 철수할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 앵글 사장은 지난해 말 한국지엠 노조와 만나는 자리에서 “정부(한국)의 도움이 없으면 현재 (한국지엠의 부실 경영을) 해결할 방법이 없으며, 인원 감축과 구조조정 및 한국 철수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은 주장에 한국지엠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앞세워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상욱 바른정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산은은 한국지엠의 적자가 지속되자 주주감사권 행사를 통해 한국지엠의 매출 원가와 본사 관리비 부담 규모 등 116개 자료를 요구했다. 하지만 한국지엠측은 6개만 제출하고 나머지는 “기밀 사항”이라며 공개하지 않았다.
특히 지엠이 자회사인 한국지엠에 3조원 규모(2016년 말 기준)의 대출을 해주면서 연 4.7∼5.3%에 이르는 고금리 대출을 해준 것도 도마에 올랐다.
국내 은행은 한국지엠의 적자를 이유로 퇴자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적자 상태인 한국지엠이 본사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이용해 해마다 1000억원의 이자를 자회사에서 챙겼다는 지적이 많다.
문제는 정부가 지원해도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어렵다. 한국지엠의 부채 규모는 공개된 것만 약 3조 원 규모로 적자가 누적돼 자본금을 모두 까먹은 자본잠식 상태다.
정부 지원으로 당장 급한 불을 끈다고 해도 추가 부실이 생긴다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만 하다가 뒤늦게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지엠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대신 정부 지원을 바라는 것 자체가 경쟁력 하락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