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도 성장기반자금, 경영안정자금 등을 합리적인 금리로 제공하여 소상공인 진흥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성장기반자금 중 하나인 ‘소공인 특화자금’의 경우 신청요건이 ‘제조업을 영위하는 10인 미만의 소공인’으로 한정되며, ‘성장촉진자금’을 신청하려면 업력이 5년 이상 되어야 한다. 그 외 경영안정자금을 구성하는 각 자금들도 신청을 위한 저마다의 요건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사업자라는 이유만으로 접근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금융당국은 추석 연휴인 오는 10월 17일쯤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미 국회를 통해 보고된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돈 없으면 빚도 못 낸다.’이다. 대출문턱을 더욱 높여, 기존 대출이 있다면 신규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들거나 대출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게 된다.
이렇듯 정부가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으로 가계대출 고삐를 죄자, 사업자대출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몰리고 있다. 지난 1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사업자대출은 올 상반기 기준 8조 6,5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 7,778억원이나 늘었다고 한다. 사업자대출 금액 규모로 보면 아직 타 업권 대비 큰 편은 아니지만, 증가폭이 가파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저축은행들도 개인신용대출에 집중하던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여, 사업자대출 상품의 적극 판매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1금융권 대비 대출 금리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사업자대출의 고객 대부분은 자금 사정이 열악한 영세 사업자가 대다수여서 향후 경기가 더 악화되었을 시 문제가 될 수 있다.”라고 지적하며, “자금상황이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른 사업자들은 당장 주머니에 돈이 없어도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목돈이 필요할 때가 있다. 하지만 요즘 대출 경기가 좋지 않은 만큼,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통해 신중한 접근과 치밀한 계획을 수립한 후 사업자대출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라고 권장했다.
이창선 기자 lcs200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