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융정책 추진방향에 관해 설명했다./ 사진제공= 금융위

최종구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부문 쇄신, 생산적 금융 등 정책 추진방향을 밝히는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금융 홀대론' 단어를 꺼내 이렇게 설명했다.
'금융 홀대론'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조직·인사 등이 지연되거나 배제되고 있지 않냐는 점을 들어 금융권에서 새 정부가 금융산업 진흥에 소극적이라는 취지로 제기돼 왔던 내용이다.
최종구 위원장은 '금융 홀대론'에 대해 금융을 하나의 산업으로 독자적으로 육성하기보다 다른 산업의 하부 산업으로 취급한다는 시각, 금융사 본연의 기능보다 서민·취약계층 지원에 너무 중점을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두 가지 시각으로 분석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금융이 실물경제와 지나치게 유리돼 독자적으로 양적 팽창하면 금융시스템, 실물경제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또 금융이 이번에는 다른 산업이나 시장, 고객과 별도로 혼자 발전할 수 있느냐, 그렇지 않다"고 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실물 경제 발전이 금융 산업 발전의 토대가 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통해 금융산업이 같이 발전해 나가는 것"이라며 "금융이 실물 경제 성장을 지원한다고 금융업 파이를 빼앗기는 게 아니라, 경제 전체 파이가 커지고 이로 인해 금융 몫이 다시 커지는 상호 보완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불필요한 규제 개혁에 대해서는 강한 추진 의지도 강조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금융회사가 실물경제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융 회사에 대한 불필요 규제는 과감하게 개선해야 한다"며 "금융이 실물경제 지원 역할을 보다 원할하게 하고 이를 통해 금융 산업을 발전하게 하겠다는 게 제 입장"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