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2017 한국금융미래포럼] “블록체인, 4차 산업혁명 국가 핵심 인프라”

정선은 기자

bravebambi@

기사입력 : 2017-05-22 02:21 최종수정 : 2017-05-22 06:33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혁명: 인호 한국블록체인학회장(고려대 교수)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보기
'소프트웨어 인프라' 집중투자 절실
네거티브 규제로 인프라 선도 필요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작년 11월 국가 미래기술 정책과 전략을 위한 싱크탱크로 설립한 한국블록체인학회 초대 학회장인 인호 고려대 교수는 “블록체인(blockchain)은 4차 산업혁명의 국가 핵심 인프라로 공정하고 투명한 신뢰(trust) 기반 차세대 인터넷 기술”이라고 강조한다.

한국금융신문이 5월 23일 개최하는 ‘2017 한국금융미래포럼: 4차 산업혁명과 기업가치의 변화’에서 주제 강연자로 나서는 인호 학회장은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뿌리’에 해당하는 기술”이라는 점을 소개할 예정이다.

인호 학회장은 컴퓨터 공학이라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경력 가운데 현재 금융위원회 블록체인 자문위원, 한국핀테크협회 자문위원, 신한은행 사외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금융권에 핀테크에 대한 통찰을 던지고 있다. 한국블록체인학회 설립 기념으로 지난 3월부터 이달까지 매주 월요일이면 고려대에서 오픈 세미나도 개최 중이다.

이번 포럼에서 인호 학회장은 핵심 인프라는 바로 블록체인이라고 제시할 계획이다. 지능형 로봇, 드론, 자율자동차,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터 등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신 산업 ‘열매’라면 핵심이 되는 ‘줄기’ 기술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라는 것.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라는 ‘물’과 ‘양분’을 빨아들이는 인프라로 블록체인을 꼽는다. 인호 학회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인프라로서 연결된 세상(connected world as infrastructu re) △데이터 중심의 결정과정(data-centred decision-making) △프로그램화된 통제(programmable control) △공유 경제(shared economy)로 특징짓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4차 기술’은 중앙집중 방식에서 단일장애지점(single point of failure) 가능성, 데이터 주권 침해, 감시와 통제 등이 걸림돌로 지적됐다. 인호 학회장은 여기에 신뢰를 심어줄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핵심 인프라가 블록체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P2P(개인 대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 컴퓨터 노드가 모든 거래 장부를 복사해 독립적으로 서로 검증케 해서 사실상 위·변조를 불가능하게 만든 기술이다. 인터넷에서 양질의 데이터를 모으고, 또 정보를 신뢰성있게 제공하는 일이란 어렵고 비싸다는 게 인호 학회장의 설명이다.

지금까지 해킹을 막기 위해 막대한 돈을 정보보호 기술에 써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블록체인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 인프라 구축 비용, 중개 수수료, IT 보안 비용, 규제 비용 등 다양한 비용 절감 효과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거래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인호 학회장은 “블록체인은 P2P 네트워크의 노드를 하나씩 공격해 동시에 51%의 노드를 장악하지 않으면 해킹이 어려운 구조로, 데이터나 자산 거래의 신뢰성을 쉽고 값싸게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거래장부인 데이터뿐 아니라 거래 계약에서도 ‘스마트 계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식거래가 중간자인 증권거래소 없이도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인호 학회장은 “자연어로 된 계약서를 프로그램 형태로 전환해서 블록체인에 올려놓고 중간자 없이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거래의 효율성도 제고하는 것”이라고 제시한다.

주요국에서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확보를 위해 사활을 걸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현실도 짚는다.

미국은 지난 2015년 가상통화인 비트코인(bitcoin)을 디지털 자산으로 인정했고, 일본은 2016년 비트코인을 암호화폐로 인정했다. 호주도 작년 블록체인을 국가 미래 기반 기술로 선정하고 정부차원에서 블록체인 전용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영국은 2015~2016년 두 해 동안 블록체인 기술과 연구개발(R&D) 등 목적으로 총 2500만 파운드(한화 360억원)를 투자했다. 중국도 작년 6월 블록체인 기반 중국 위안화 전자화폐를 추진했다.

글로벌 기업 간 선두 경쟁도 치열하다. 지난 2015년 9월 설립된 국제 블록체인 컨소시엄 ‘R3 CEV’는 국제 금융거래망인 SWIFT망 동남아 해킹 사건을 겪으며 대체 가능 방안으로 검토됐다. 블록체인 기술개발업체인 R3와 글로벌 은행들이 참여한 컨소시엄에 한국에선 작년 4월 하나금융이 첫 테이프를 끊었다. 인텔은 작년 4월 블록체인 사업부를 신설했고, IBM과 삼성도 “사물인터넷(IoT)의 미래는 블록체인 기반의 P2P 네트워크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인호 학회장은 과거 우리나라가 이뤘던 ‘한강의 기적(Miracle of Han River)’과 같은 성과를 얻기 위해 블록체인을 신산업 육성 전략으로 삼는 국가적 산업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제안할 예정이다.

인호 학회장은 사적(private) 블록체인을 통한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 또 공적(public) 블록체인을 거친 스마트계약, 스마트머니 등은 2025년경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등 분야로 확산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그는 블록체인이 보안·네트워크·운영체제(OS)·애플리케이션(app) 등 응용 분야가 다양한 차세대 컴퓨팅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인호 학회장은 “우리가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초고속 인터넷망을 국가 인프라로 보고 투자했듯 블록체인을 소프트웨어 인프라로 인식해 민관 합동으로 블록체인 산업 육성 로드맵을 작성하고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규제 정비가 필요하다는 점도 꼽고 있다. 우리나라는 포지티브(positive) 규제 틀에 갇혀 새로운 서비스를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시기에 법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불법이 되면 기술과 서비스 발전을 막는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 구체적으로 올 1월 국내 핀테크 업체가 블록체인 기반 비트코인 해외송금 서비스를 개시하려 했다가 외국환관리법 위반에 걸린 사례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인호 학회장은 “네거티브(negative) 규제로 전환하고 규제 프리존을 만들어 새로운 서비스를 끊임없이 시도하고 생태계를 조정해야 한다”며 “현재 서버-클라이언트 중심 중앙집권적 컴퓨팅에서 분권형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짚는다.

블록체인을 국가 인프라로 선도하는 일이 ‘정보 주권’을 지키는 길이라는 점도 강조할 예정이다.

인호 학회장은 단적인 사례로 개인컴퓨터(PC)로 바뀔 때 윈도우가 점령했고, 인터넷으로 바뀔 때는 구글이, 모바일로 바뀔 때 안드로이드가 장악했다는 점을 소개한다. 블록체인으로다시 한 번 바뀔 때 또다시 종속될 순 없다는 주장이다.

인호 학회장은 “혁신은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주체를 바꾸는 것”이라며 “국민의 금융자산이 외국 기업 주도의 블록체인에 저장·관리·거래되면 의존도가 심화될 수 있는 만큼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