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법인의 최근 5년간 현금배당 공시를 통해 배당금액,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및 주가상승률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배당 규모 증가 추세로 인해 올해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을 2년 연속 초과하는 등 배당투자 기반이 정착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상장법인의 72%가 현금배당을 실시했으며, 배당금 총액 규모는 최근 5년 연속 증가해 2016년은 20조원을 돌파했다. 전체 현금배당 법인 522개사 중 361개사(2016년 기준 69.2%)가 5년 연속 현금배당을 실시했다. 특히 2015년 현금배당 법인 중 95%의 법인이 2016년에도 배당을 실시했으며, 매년 현금배당 공시한 법인의 약 90%가 2년 이상 연속 배당 기업이었다.
지난해 평균시가배당률은 1.80%(보통주 기준)이며 2년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국고채수익률 하락 및 평균시가배당률의 증가로 2년 연속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1년 만기 평균 1.433%, 2016년 기준)을 초과했다.
전체 현금배당 법인 522개사 중 276개사(2016년 기준 52.9%)의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을 초과했으며, 5년 연속 국고채 수익률을 초과한 법인은 35개사로 초과수익률은 2.14%포인트였다.
작년 배당성향은 34.44%로, 최근 5년간 지속 상승했으며 지난 3년간 34%대를 유지하며 소폭 올랐다. 지난해 배당법인의 주가상승률은 예년과 달리 지수상승률을 하회했다.
지난 4년간은 현금배당을 실시한 법인의 평균 주가상승률이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을 초과했다.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배당규모가 확대되고, 2년이상 연속 배당법인 비중이 90% 수준에 달하는 등 정부의 배당유도 정책과 배당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기업들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정부의 배당유도 정책으로는 조세특례제한법상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및 총배당금액 증가율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고배당기업의 현금배당에 대한 과세특례 등을 들 수 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