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4일 공개한 '2017년도 제4차 금융통화위원회(정기) 의사록'에 따르면, A금통위원은 "그동안 미국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고 다른 나라 중앙은행은 완화기조를 확대 또는 유지하는 이른바 통화정책의 비동조화 현상이 이어져 왔는데 최근 들어서는 여타 주요국 중앙은행들도 통화정책의 완화정도 축소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A금통위원은 "글로벌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 저금리 기조 아래 금융 불균형 누적, 미국 신정부의 환율압력 등이 배경인 것으로 생각된다"며 "이같은 방향으로 변화할 경우 미국 연준 정책금리 추가 인상의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이 예상보다 클 소지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겠다"고 짚었다.
연준은 오는 14∼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재 연 0.50∼0.75%인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관측된다.
B금통위원도 "미국 연준이 금리인상 시기를 시장의 예상보다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도 있어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B위원은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3조 달러를 밑돌게 되면서 중국시장에 대한 우려가 있는 점, 신흥국이 미국 환율정책과 보호무역주의 정책 등의 영향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있는 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금통위원도 "자칫 미국 금리인상이 갑작스런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부 신흥국들은 달러화 유동성이 경색될 경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며 "내외금리차가 축소된 상황에서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대 변화가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시장 불안정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가계대출에 대한 예의 주시도 재차 강조됐다. D금통위원은 "비은행 대출이 은행 대출을 대체하면서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저하될 위험에도 지속적으로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향후 시장금리의 추가 상승, 신용위험 증대 가능성 등에 대응해 개인사업자, 중소기업 부문에 대한 중개기능이 원활히 작동하는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E금통위원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1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축소 움직임이 이어졌지만 계절적 요인에도 기인하고 있다"며 "가계대출 동향, 주택시장 상황, 대출억제를 위한 정부대책 효과 등을 계속 면밀히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F금통위원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제조업의 취업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해 기업 구조조정 고용한파카 커지는 모습"이라며 " 제조업의 고용 감소가 자영업 증가 등 소위 고용의 질이 떨어지는 부분의 확대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은 가계부채 문제의 악화를 방지하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