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인 관광객들이 서울 시내 한 신규면세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
중국은 상하이의 주요 여행사 외에도 이달 15일부터 장쑤성, 산둥성, 산시성 등까지 한국관광 상품의 판매 중단을 지시할 예정이다. 향후 ‘한국 관광 상품 판매 금지 조치’는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며 사드 배치로 인한 악재는 더욱 어려운 국면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3일 관광공사와 관세청,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 수는 1720만 이었고 이 가운데 절반가량 (46.8%) 이 중국인 관광객 이었다. 이들 관광객 중 중국 여행사를 통해 항공권을 구매하거나 숙박업소를 찾는 관광객 비율(단체관광객)은 절반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비췄을 때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사드 보복조치로 인해 403만 명 정도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5년 기준 중국인 관광객 1인당 한국 내 지출액은 2391달러, 한화 274만 원 정도였다. 중국인 관광객 수가 806만 명에서 403만 명으로 절반 줄어들 경우는 관련 업계는 한화 약 11조원의 매출 타격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이 같은 조치는 면세업계에 직격탄이 될 것이란 중론이다. 현재 국내 면세점들은 매출 중 70% 이상을 중국인 관광객들에 의존하고 있다.
업계 1위 롯데면세점의 경우 소공점의 전체 매출 중 중국인 관광객 매출 비중이 70%, 여행사를 통한 단체관광객 매출 비중이 40%를 차지했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의 경우 중국인 관광객 매출이 50%, 이중 단체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보이고 있다.
신규면세점들의 경우 적게는 70%, 많게는 90%의 매출이 중국인 관광객들의 지갑에서 나온다. 이중 단체관광객의 매출 비중은 절반 이상이다.
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운영상 문제라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으나 국가의 결정 사안인 만큼 현재로선 관망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나머지 60%의 가량의 개별 관광객을 잡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면세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며 “기업 차원에서 이미 할 수 있는 일은 끝났다”고 전했다.
이 같은 상황은 지난 2010년 불거진 중국-일본간 센카쿠 열도 사태와 유사하다. 2010년 중국은 일본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감행한 바 있다. 중국과 일본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댜오)를 놓고 영유권 분쟁을 벌였으며, 당시 일본이 자국 순시선과 충돌한 중국 어선의 선장을 구속하자 중국은 일본에 희토류 수출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아울러 자국민의 일본 관광을 제한하기도 했다. 당시 중국은 자국 내 일본 상품 퇴치 운동을 펼쳤고 일본 상품 불매 운동도 조장했다. 그 결과 2010년~2013년까지 일본 내 중국인 관광객 비율은 30%씩 감소를 보였다.
한편 이달 1~2일 롯데면세점 홈페이지가 중국 현지 IP를 이용한 디도스 공격을 받아 수 억원의 피해를 보는 등 실제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 7월 한-미 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결정했고 올해 2월 28일 국방부와 롯데그룹은 사드 부지 교환에 대한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