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전국 1만1932개 주유소를 4개 유형 16개 그룹으로 분류해 주유소 유형별 및 그룹별 2016년 석유제품 평균 판매가격을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석유제품 평균 판매가격(휘발유 : 1402.6원/ℓ, 경유 : 1182.5원/ℓ) 대비 주유소 유형별 가격 차이를 분석한 결과, 휘발유·경유 모두 알뜰주유소가 전국 평균가격보다 31.8원/ℓ 저렴했다.
4개 유형별로는 알뜰주유소(비알뜰주유소 보다 휘발유 △35.1원/ℓ, 경유 △35.1원/ℓ), 셀프주유소(비셀프주유소보다 휘발유 △32.4원/ℓ, 경유 △32.0원/ℓ), 지방 소재 주유소(수도권 소재 주유소보다 휘발유 △29.7원/ℓ, 경유 △28.7원/ℓ), 전자상거래 활용 주유소(전자상거래 未활용 주유소보다 휘발유 △25.1원/ℓ, 경유 △25.9원/ℓ) 順으로 가격인하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주유소의 유형(알뜰/비알뜰 등)에 따라 석유제품을 저렴하게 공급받는 주유소가 가격인하 여력이 높고, 인건비·임차료 등 고정비성 판매관리비 부담이 적은 주유소*가 판매가격이 낮음을 알 수 있다.
4개 유형을 조합한 16개 주유소그룹 중 판매가격이 가장 저렴한 그룹은 셀프주유소이면서 전자상거래를 활용하는 지방 소재 알뜰주유소로서, 전국 주유소 평균가격 대비 휘발유는 52.0원/ℓ, 경유는 52.3원/ℓ저렴했다. 가장 비싼 그룹 대비 리터당 93~96원(휘발유 92.8원/ℓ, 경유 95.5원/ℓ)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가격이 저렴한 상위 그룹 주유소는 모두 알뜰주유소로 나타나 셀프주유소 여부나 주유소 소재지 등의 요인과 관계없이 알뜰주유소의 가격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소재지에 따른 유형별 가격 인하효과를 보면, 비수도권에서는 셀프주유소의 가격 인하 효과가 크고, 수도권에서는 알뜰주유소의 가격 인하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알뜰주유소, 전자상거래 등 석유유통정책이 석유시장의 경쟁촉진과 가격 인하에 기여하고 있음이 실증적으로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