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
16일 한화종합화학은 한화큐셀코리아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2500억 원을 출자해 보통주 563만2914주와 지분 50.15%를 확보했다. 이로써 한화큐셀코리아는 한화종합화학의 종속회사가 됐다.
한화종합화학은 페트병 원료인 고순도테레프탈산(PTA)를 생산하는 업체이며, PTA사업이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불황이 이어지면서 신규 사업으로 태양광 사업 진출을 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증자 참여로 한화종합화학은 그룹 내 주력사업인 한화토탈의 석유화학과 함께 한화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한화큐셀코리아의 태양광 사업까지 모두 지배하게 됐다. 한화종합화학은 한화토탈의 지분율 5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
재계에서는 한화종합화학의 유상증자가 김승연닫기

한화종합화학의 지배구조를 거슬러 올라가면, 한화종합화학의 최대주주는 지분의 39.1%를 보유한 한화에너지이다. 한화에너지의 대주주는 한화S&C로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데 한화S&C의 지분 중 50%를 김동관닫기


오너가에서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재계에서는 경영권 승계에 있어 S&C가 핵심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화의 3형제는 한화 S&C와 한화에너지, 한화종합화학을 통해 그룹 주력 계열사인 한화큐셀코리아와 한화토탈을 모두 지배하는 구조를 띄게 됐다.
즉, 한화S&C→한화에너지→한화종합화학→한화큐셀코리아와 한화토탈로 이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한화큐셀코리아는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전무가 맡아 ‘태양광’ 사업을 진두지휘 하고 있다. 한화큐셀코리아는 태양광발전 셀 생산 규모 연 5.2GW의 세계 1위로 글로벌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북미 시장의 공략 외에도 신흥시장인 인도·터키 등으로 사업 보폭을 강화하는 중이다. 국내에는 충북 진천에 1.4GW 규모의 태양광 셀 공장, 음성에 1.5GW 규모의 태양광 모듈공장을 운영 중이다.
한화큐셀코리아는 올해 목표 매출액 3조원을 바라보고 있다. 3분기 한화큐셀코리아는 태양광 부문 매출 1조 4381억, 영업이익 922억 원을 냈다. 직전 분기에는 7126억원의 매출과 94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