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연결기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은행지주 7곳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3조44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65억원(16.2%) 줄었다.
신한지주와 KB금융은 순이익이 각각 7.4%, 1.7%씩 감소했다. 특히 상반기 410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농협금융은 1385억원 적자를 내 마이너스 전환했다.
금감원은 "조선·해운업종에 속한 일부 대기업의 구조조정 등으로 은행의 대손비용 등이 증가한 데 주로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대손비용은 은행이 여신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 손실로 처리하려고 미리 대출금의 일정 비율을 쌓아두는 비용을 말한다.
7개 은행지주 별 순위를 보면, 신한금융이 상반기 1조3102억원으로 가장 순익이 높았다. 이어 KB(9102억원), 하나(8187억원) 순이었다. JB금융지주의 경우 상반기 순이익이 745억원으로 37.2% 큰 폭 증가했다.
6월 말 현재 은행지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3.96%로 지난해 말 대비 0.24%포인트 올라 자본 건전성이 개선됐다. 보통주 자본비율과 기본 자본비율도 각각 10.99%, 11.61%로 0.45%포인트, 0.38%포인트씩 상승했다.
은행지주의 고정이하 등급 부실채권 비율도 1.19%로 지난해 말보다 0.16%포인트 내려갔다. 부실채권비율은 농협지주가 1.81%로 가장 높았다.
비은행지주 중에선 메리츠지주의 상반기 순이익이 11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억원(3.4%) 줄었다.
한국투자금융지주 상반기 순이익도 1281억원으로 1518억원(54.2%) 크게 감소했다. 금감원은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파생상품 손실 발생 등으로 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최근 내수경기 부진,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 우려 등 국내외 잠재 리스크요인에 따른 자산건전성, 수익성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그룹 차원의 통합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경영합리화 및 시너지 제고를 위한 감독상 노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