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웅섭(왼쪽 세번째)금융감독원장이 부산 문현동 부산은행 본점에서 주택금융 현장 간담회에서 비수도권 가계부채관리 대책시행에 대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금융감독원
진웅섭 원장은 11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주택금융 현장 간담회에서 “여신심사선진화 가이드라인이 전국으로 확대 실시된 이후 대출상담과 문의가 평소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등 비수도권에서도 연착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지난 2월 대출 때 소득심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수도권부터 적용한 뒤 이달 2일부터 비수도권으로 적용을 확대했다.
진웅섭 원장은 이어 IMF가 최근 “한국의 가계부채는 여전히 관리 가능한(still manageable) 수준이며, 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잠재적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다”고 발표한 사실을 소개하며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기울인 가계부채 관리 노력에 대하여 해외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진웅섭 원장은 다만 가계대출 증가세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우려를 표했다. 그는 “올해 1∼4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14조300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5조3000억 원 줄었지만 최근 3년 평균 증가액보다는 여전히 57.1%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1∼4월 중 집단대출이 7조4000억 원 늘어 전체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과반(51.7%)을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가이드라인이 안착할 경우 2019년에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진웅섭 원장은 “집단대출 승인 물량이 앞으로 2∼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집행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집단대출 중심의 대출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라며 “다만 주택시장이 안정을 유지하는 가운데 가이드라인이 안착하면 2019년에는 가계부채 증가세도 안정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