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3월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방향성 전기강판 가격을 각각 5만원과 20만원 올린다. 스테인리스 300계 제품의 출하가격도 톤당 10만 원 인상한다. 앞서 포스코는 1월 열연 가격을 톤당 2~3만원, 냉연제품 가격도 톤당 2~3만원 올렸다.
포스코는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철강재 가격은 최근 2달 동안 내수 판매가격을 톤당 150~200위안(2만7천원~3만6천원) 상승했다. 중국 철강업체의 저가 물량 공세에 포스코 등 국내 업체들은 대응 차원에서 철강재 가격 인상을 하지 못했다.
포스코의 이번 인상을 인해 다른 국내 업체들도 철강재 가격을 일제히 올리고 했다. 현대제철도 3월 톤당 1~2만원 정도를 인상하기로 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시장 점유율 차원에서 포스코는 국내 철강 시장을 주도하는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며 “포스코가 가격을 올리면 다른 모든 업체들이 가격을 따라 올린다”고 말했다.
철강회사들에게 3월은 성수기로 가격 인상과 함께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포스코와 현대제철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이번 포스코의 인상에 따라 철강재를 사용하는 자동차와 냉장고 등 국내 주요 산업 완제품 가격도 오를 것이란 전망이다. 열연과 냉연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산업계에 어떤 효과를 가져 올지 관련 업계는 주시하고 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