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한 정부의 다음 카드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가 단수와 단전 조치를 취할 경우 북한은 군부대의 전진 배치 등 또 다른 대응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관계의 악화가 어떤 모습으로 번질 지 금융계와 재계는 예의주시하면서 긴장하고 있다.
북한은 11일 “개성공업지구에 들어와 있는 모든 남측 인원들을 2016년 2월 11일 17시(우리 시간 오후 5시 30분)까지 전원 추방한다”고 발표했다.
북한은 이날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개성공업지구에 있는 남측 기업과 관계기관의 설비, 물자, 제품을 비롯한 모든 자산들을 전면동결한다”면서 “추방되는 인원들은 사품외에 다른 물건들은 일체 가지고 나갈수 없으며 동결된 설비, 물자, 제품들은 개성시인민위원회가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은 이와함께 “11일 10시(우리 시간 10시 30분)부터 개성공업지구와 인접한 군사분계선을 전면봉쇄하고 북남관리구역 서해선 육로를 차단하며 개성공업지구를 폐쇄하고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북한의 강수에 우리 정부가 다음 카드로 무엇을 제시할 지 주목된다. 우선 개성공단내 단전ㆍ단수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전력은 현재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54㎸ 송전선로를 따라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낸다. 송전된 전력은 평화변전소에서 변압 과정을 거친 뒤 배전 방식으로 공단 내 시설 등에 공급되고 있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 수준이며 한전은 평소 3~4만㎾ 정도를 보내고 있다.
한국전력은 단전 여부와 관련한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정부는 개성공단 가동과 함께 그동안 공단 인근에 있는 월고저수지에 취·정수시설을 설치, 개성공단은 물론 개성시민에게 물을 공급해왔다. 정수장을 위탁 운영해온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620만t 정도의 물을 공급했으며 가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만7천t의 물을 매일 취수하고 있다. 이 가운데 7천t은 개성공단 운영에 들어가고 나머지 1만t은 개성시민이 사용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정부 방침이 결정되면 거기에 맞춰 개성공단 정수시설에 대한 후속 조치가 신속히 진행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개성공단에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도 정부의 지침에 따라 공급 중단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가스공사는 LNG를 14.5t짜리 탱크로리에 실어서 개성공단으로 옮기고 있다. LNG는 개성공단 내 저장탱크에 보관된 뒤 현지 배관 시설을 통해 아파트 난방용 등으로 공급된다. 연간 공급 규모는 300t 가량이다. 가스공사 외에 SK 등 민간 에너지기업에서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차량으로 공급하고 있다.
단전ㆍ단수 조치에 대해서 북한은 강력히 반발할 가능성이 있어 긴장감이 더해지고 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