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여개 업종 단체와 공동으로 ‘2016년 산업기상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건설 업종, 정유·유화 업종은 '맑음'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제조업은 중국발 한파로 전자, IT, 자동차, 기계, 철강, 섬유는 ‘흐림’, 조선 업종은 ‘눈’으로 진단했다.
조사에 따르면 건설업은 ‘구름조금’으로 전망됐다.
이란 제재 해제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공식출범으로 해외건설이 기대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상반기 시행되는 주택담보대출심사 강화, 대량공급된 아파트 분양물량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정유·유화업종은 ‘구름조금’으로 예보했다. 저유가로 인해 석유화학 업계는 천연 셰일가스(미국)나 석탄(중국)을 주원닫기

전자·IT 업종은 ‘흐림’으로 전망됐다. 성숙기에 접어든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이 5년만에 처음으로 한자리수(7.4%)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생산과 투자가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디스플레이도 중국의 공격적 투자로 1년새 평균가격이 30%나 떨어졌고, TV 역시 수출시장에서 평균 40% 낮은 가격에 팔리고 있다. 업계는 브라질 올림픽 특수와 대형TV 같은 프리미엄 가전시장 확대에 기대를 거는 중이다.
철강 부문도 ‘흐림’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내수시장이 어렵자 과잉생산된 물량을 지난해보다 29% 싼 가격으로 해외 시장에 내보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국산 점유율이 40%에 이르는 심각한 상황이다. 차후 철근수요 증가세와 올해부터 공공건설에 시행될 ‘자국산 우선 구매제도’는 철강산업에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로 사상최대치(180만대) 내수판매를 기록했던 자동차 업종은 ‘흐림’으로 전망됐다. 반토막 났던 러시아(-64.8%), 브라질(-56.4%), 중국(-47.6%) 등 신흥국 수출도 통화약세로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 것으로 보인다.
기계업종도 ‘흐림’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북미지역에서 분위기가 좋았던 기계는 올해도 중국 부동산경기 침체와 중국, 일본과의 경쟁 격화로 쉽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 굴삭기 시장에서 50%를 육박했던(2000년대 중반) 우리기업 점유율이 지난해에는 10%를 밑돌았다. 그에 반해 엔저를 등에 업은 일본기업들은 사상처음 30%를 넘었다.
‘흐림’으로 조사된 섬유·의류 업종은 올해 상반기 국내생산과 수출은 각각 0.4%, 1.4% 증가했다. 중국경기 둔화로 수요가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과 인도의 생산증대로 30% 이상의 과잉공급이 추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한미 FTA 5년차로 관세가 철폐된다(2%→0%)는 점이 업계에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됐다.
조선 업종은 저유가로 신규수주가 부진해 ‘눈’으로 분석됐다. 설비과잉과 저유가로 올해 수주량도 전년대비 2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 3사(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작년 영업손실은 8조원에 달했다. 업계는 중국의 저가 물량공세와 일본의 기술력에 맞서 고부가가치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쉽지 않은 상황이다. 통상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는 돼야 해양플랜트의 의미있는 수요개선이 나타나지만 현재 절반인 30달러 수준이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중국이 차이나 인사이드 정책으로 주요 제조업을 자급자족하고 있는 가운데 자국내 초과공급물량을 낮은 가격으로 수출 밀어내기를 하고 있다”며 “선제적 구조조정,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경쟁제품의 차별화와 고품질 소비재 수출로 차이나 한파를 극복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