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가 지난 1일부터 소비세율을 5%에서 8%로 인상했다. 이는 지난 1997년 4월 이후 17년만이다. 오는 2015년 10월에는 다시 10%로 인상하고 이에 따른 세수 증가분을 전액 사회보장비로 활용할 계획이다. 일본 소비세인상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무엇보다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97년 4월 소비세 인상 이후 디플레이션은 가속화됐다. 실제 소비둔화로 시작된 경기침체는 18개월 이상 이어졌다.
이번 소비세 인상도 경기부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일본경제성장율은 소비위축으로 오는 5월, 6월에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소비세 인상에 따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일본통화당국이 경기부양차원에서 엔화의 약세기조에 드라이브를 걸고, 엔화약세가 재현돼 우리나라의 수출 가격경쟁력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화투자증권 김유미 연구원은 “소비세 인상으로 일본의 상반기 경제지표의 급등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책당국을 중심으로 경기부양 기대감이 계속될 것으로 본다”라며 “그 과정에서 현재 102엔에서 움직이고 있는 엔화의 약세 폭이 104~105엔으로 연초 수준까지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엔화약세가 되풀이되더라도 과거처럼 증시의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신영증권 김재홍 자산전략팀장은 “소비세인상에 따른 일본의 성장둔화는 일본 증시에 대한 투자매력을 자연스럽게 낮출 것”이라며 “하반기부터는 일본 경기지표의 가시적인 둔화가 포착될 것으로 보여 이는 오히려 한국 증시에 대한 글로벌 유동성의 선호현상을 상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소비세 인상 이후 일본의 투자매력 약화로 한국증시에 대한 글로벌 유동성의 선호현상이 나타나 코스피가 반사이익을 얻는다는 것이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