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예탁원, 증권금융 등 증권유관기관으로부터 출연 받아 조성한 1000억원 규모의 창조금융펀드가 거래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7월에는 64%이던 투자비중이 8월에 70.6%, 9월에는 85.2%까지 올라갔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가 코넥스상장기업의 지주회사가 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중소 벤처기업의 획기적인 자금조달 창구로 기능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코넥스 시장은 장외주식 거래를 위해 금융투자협회에 개설되었던 프리보드 시장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완방안도 시장이 아니라 정부 주도의 코넥스시장 회생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 지난 10일 코넥스시장 조기 안착을 위한 보완방안을 발표했다.
국책 금융기관(정책금융공사 등), 성장사다리펀드, 증권유관기관 펀드(1,500억원 조성)의 코넥스 투자를 확대하고 금년 말까지 상장기업 수를 50개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김영주 의원은 “정부가 지나치게 시장에 개입하면 가격이 왜곡되고 오히려 코넥스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과도한 시장개입보다는 기관 및 일반투자자들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창조금융 공동펀드의 월별 투자현황 〉
* 자료:한국거래소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