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기관들이 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대부금융업체의 CB 공유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저신용자의 중복 대출 확인을 통해 대출을 하지 않았던 서민대출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대부금융업계에서 시장 위축과 오히려 서민대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대부금융업계는 CB가 타 금융기관에 공유되는 것을 강력히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A대부금융업체 관계자는 “대부금융업계 고객의 CB를 금융기관과 공유할 수 있게 되면 업권의 영업이 위축돼 자칫 대부금융업의 음성화도 초래할 있다”면서 “또한 기존 고객들이 금융권에서 대출한도 축소, 회수 등의 불이익이 예상돼 고객의 불이익 방지를 위해서라도 CB공유는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부금융업계는 우선 업계간에 둘로 분리돼 있던 CB 통합을 통해 체계적 관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업계 대표단으로 구성된 신용정보위원회를 만들어 지난 8일 회의를 갖고 대부금융 CB 통합절차에 관한 기본 일정을 수립했다.
26일까지 업계간 통합CB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내달 16일까지 통합CB운영규약을 제정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4월 30일까지 통합CB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하고 5월 20일까지 통합 CB 운영위원을 선정한 뒤 28일까지 통합CB를 설계하고 8월말까지 통합CB 스코어 개발에 나선다.
신용정보위원회는 이같은 절차를 마무리 하고 10월 초에 통합CB 테스트를 거쳐 본격적으로 오픈한다는 계획이다.
B대부금융업체 관계자는 “현재 대부금융업체 CB는 NICE(한국신용정보)와 KIS(한국신용평가정보) 두곳으로 양분돼 있어 업계에서 조차 서로 확인할 수 없어 중복대출에 대한 관리가 안되는 상황이었다”며 “그동안 심사와 영업에 다중채무 리스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서민금융활성화 저해에 대한 우려를 업계간의 CB 통합을 통해 해결해 갈 수 있을 것”이라며 “법이 바뀌지 않는 이상 대부금융업체들은 스스로 CB를 공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부금융협회는 CB공유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2010년 제1차 서민금융포럼을 내달 4일 개최한다.
이 포럼은 주요 대부금융업체 대표와 소비자금융연구소와 학계 교수들이 참여해 대부업 CB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토론이 이뤄진다.
1차 주제발표에서는 한신정 오규근 CB사업본부 실장이 CB현황에 대해 설명한다. 2차 주제발표는 원캐싱 심상돈 대표가 대부업 CB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정책제안을 한다. 이후 한양대 이상빈 교수 사회로 상명대 김규한 교수와 심언명 교수가 패널로 참석해 토론을 진행한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