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는 공기업선진화 정책의 일환으로 자회사인 한국자산신탁을 지난 9월 10일에 우선협상대상자를 대신MSB사모투자전문회사(대신PEF)로 최종 선정해 매각 절차를 진행중이다.
노동조합이 인수자의 적법성 문제로 반대 입장을 밝혀 매각절차가 다소 지연됐지만 노조가 경영 효율성 제고와 첨단 민간 경영기법 도입 등의 이유로 반대를 철회해 순조롭게 매각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캠코가 대신PEF에 주요 임직원 인사권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자산신탁 노조 관계자는 “캠코가 공기업 매도자라는 우월한 지위를 활용, 시장의 M&A 거래관행을 벗어나 ‘자기사람 자리 만들기’를 비공식적으로 대신PEF에게 강요하고 있다”며 “캠코의 자기사람 자리 만들기는 한국자산신탁의 매각과 관련된 매각공고, 입찰 안내서 등의 공식적인 안내 자료에서도 전혀 제시되지 않았던 사항”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구체적인 매각 실무협의 과정에서 캠코가 대신PEF에게 요청하기 시작했으며, 매각 절차가 진행될수록 더욱 더 강력하게 요구한 사실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한국자산신탁 노동조합은 캠코의 인사권 요구가 회사의 경영권까지 매각하면서도 공기업의 폐단이라 할 수 있는 낙하산 인사를 회사 민영화 이후에도 이어가려 한다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 민영화로 가혹한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회사를 퇴물처리공장으로 전락시키는 것”이라며 “이는 공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경영 효율성 제고라는 공기업 민영화의 취지에 정면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청년 실업난의 해소라는 국가적인 과제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들어야 하는 사회적인 요구에 역행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캠코가 낙하산 인사를 감행한다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총력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자산신탁 노동조합 핵심관계자에 따르면, 한국자산신탁의 민영화는 이달 안에 캠코와 대신PEF간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1월경에 양수도대금의 거래를 완결해 모든 절차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관리자 기자 adm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