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보험, 운행거리 연계 자동차보험, 중고부품 재활용시 보험료 할인상품 도입 등 녹색금융정책의 일환으로 손보사들의 일거리가 늘어나는 반면 수익성은 낮기 때문이다.
13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녹색금융정책의 일환으로 새로운 보험제도 도입을 추진하자 손보사들이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손보사들이 가장 곤혹스러워 하는 것은 정부가 도입을 추진중인 보험상품들이 수익적인 측면에서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먼저 최근에 도입 하겠다고 밝힌 중고부품 재활용시 보험료를 할인하는 자동차보험상품의 경우 손보사들은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우선 관련 상품을 개발해도 상품판매가 원활히 이뤄질지 미지수다.
중고부품 재활용시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보험상품은 자차보험에 포함되는데 국내 자차보험 가입률은 52%에 불과하며 대부분 신차나 고가의 차량만 가입하고 있다.
신차와 고가의 차량을 보유한 차주의 경우 자동차 외관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중고부품을 재활용해 차량을 수리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가입을 꺼릴 가능성이 크다.
또한 연식이 오래된 차량의 경우에는 자차보험에 가입하지 않기 때문에 상품판매량은 매우 적을 수 밖에 없다.
손보사의 입장에서는 중고부품을 사용해 차량을 수리하는지에 대한 감시활동 등 보상업무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수익적인 측면에서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판매에 적극성을 보일지도 의문이다.
운행거리 연계 자동차보험제도 도입도 마찬가지다.
운행거리 연계 자동차보험은 과거 1년간 주행거리를 반영해 보험료를 깎아주거나 더 받는 보험료 책정 방식인데 정부는 이 제도가 도입되면 자동차 운행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손보사들이 이 상품을 개발하더라도 블랙박스 등 차량주행거리를 측정하는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만 판매가 가능하다.
문제는 블랙박스 장착비용이 고가인데다가 주행거리를 조작할 경우 이를 확인하는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또한 차량운행의 대부분이 출퇴근용이기 때문에 차량운행이 줄어드는 효과도 미미할 가능성이 크다.
오히려 차량운행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고객에게 외면 받을 가능성도 크다.
녹색금융정책의 일환으로 가장먼저 도입된 자전거보험의 경우에는 단독상품으로 실적을 올리기보다는 다른 상품에 ‘덤’으로 판매되는 상품으로 전락했다.
이는 상품판매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보험사들이 고육지책으로 상품을 타 금융사와 제휴해 판매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손보업계 일각에서는 녹색금융정책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특히 보험시장에 대해 정확한 이해와 예측도 없이 무조건적으로 도입되는 녹색보험제도의 경우 오히려 보험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손보업계 한 관계자는 “녹색금융정책의 일환으로 새로운 보험제도가 갑자기 도입되거나 도입이 추진될 때마다 상품 및 영업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는 결국 보험사에게 부담으로 적용돼 말 그대로 ‘구색 맞추기’형태로 따라가는 결과만 발생시킨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ha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