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유경원 연구위원은 14일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의 진단과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가구의 자산 및 부채분포 등을 감안할 때 향후 가계부문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득계층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국내 가계부채 보유는 전반적으로 소득이 뒷받침되거나 부동산 자산 취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계 재무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금융시장에 대한 충격보다는 실물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또 가계부채의 증가는 신규 부채의 증가보다는 기존 차주가구의 부채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 가구의 경우 부채가 한번 늘기 시작하면 어느 정도 지속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구조적인 특성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계부채 문제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가계의 자산·부채·소득상황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계자료의 보급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유 연구위원은 소득충격에 취약한 저소득 계층의 경우 안정적인 소득흐름의 확보를, 자산가격 변화에 민감한 중·고소득 계층의 경우 자산가격의 안정을 중요 요소로 제시하며 향후 가계부문 재무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소득계층별로 차별화 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유 연구위원은 “저소득 계층의 경우 소득증가가 금융자산 축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저소득 계층의 금융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저축증대에 제한이 되고 있는 교통ㆍ통신ㆍ교육 등에 대한 비용 절감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고운 기자 sgw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