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험요율 인상은 국내 손보사들의 보험료 상승으로 이어져 일반보험 등의 영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금융위기와 아시아, 미국의 대형 자연재해로 인해 해외 재보험사들이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들면서 화재, 기계, 조립, 건설공사보험 등 재물보험은 8%, 해상보험은 10% 정도 재보험요율을 인상했다.
재보험시장은 가격이 낮아지는 ‘소프트마켓’과 높아지는 ‘하드마켓’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동안 재보험 시장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소프트마켓’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발생한 세계적인 금융위기와 아시아, 미국의 대형 자연재해는 세계 재보험시장을 공급자 중심의 ‘하드마켓’으로 바꿔 놓았다.
금융위기로 인해 자본조달비용과 재보험수요가 증가함과 동시에 대형 자연재해로 인해 리스크증대 환경으로 변모했기 때문이다.
특히 금융위기로 대출조건 강화와 주식시장 변동성 증가는 경영상황이 악화된 재보험사의 자본조달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재보험사들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자본조달비용 증가를 원수보험사에 재보험료 인상을 통해 전가시킬 수밖에 없다.
여기에 금융위기로 인해 자본조달이 어려운 원수보험사의 경우 재보험 출재를 통해 직접적인 자본 대체방법으로 활용하면서 재보험수요가 증가해 재보험료 인상이라는 결과가 발생한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재보험요율 인상이 국내 손보사들의 보험료 상승으로 이어져 일반보험 등의 영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일반보험은 재보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다른 종목에 비해 재보험 요율 변동에 따라 원수보험료가 크게 달라진다.
하지만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기업들의 투자와 수출입 물량이 감소하면서 보험료 수입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보험의 보험료를 올릴 경우 손보사의 일반보험 영업은 더욱 침체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손보협회와 보험개발원이 손보사의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위해 일반보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재보험요율 인상으로 일반보험의 보험료가 인상되면 이러한 노력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커진다.
이에 대해 손보업계 관계자는 “국내 일반보험의 손해율은 60%대로 안정적인데 재보험요율 인상을 이유로 보험료를 인상한다면 소비자들의 반발이 클 수밖에 없다”며 “그렇다고 보험사가 감내하기에는 부담이 만만치 않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ha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