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 등이 최근 부실채권 추심업무를 아웃소싱하기 위해 신용정보사를 선정했다. 또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한국수출보험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장기연체 채권을 대상으로 추심업무의 아웃소싱을 확대하고 있다.
금융공기업 한 관계자는 “매년 꾸준히 업무 효율화를 위해 부실채권의 경우 아웃소싱을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캠코는 최근 외환위기 당시 퇴출된 5개 은행의 무담보채권 등 10만5000건 3조9000억원 규모의 채권추심 물량을 아웃소싱 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최종적으로 고려신용정보, 나라신용정보, 기은신용정보, 미래신용정보 등 4곳을 선정했으며 향후 협의를 통해 아웃소싱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캠코 관계자는 “지난 17일 신용정보사 4개사를 선정했고 향후 채무상환 약정 등 아웃소싱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며 “공기업 선진화 방안으로 작년에 경영실태조사에서 지적된 바 있고 최근 업무량이 늘어나 내부직원이 관리하던 물량 중 장기연체 물량 위주로 아웃소싱을 추진중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캠코 뿐만 아니라 금융공기업의 채권추심 아웃소싱은 이미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에서 해오고 있었으며 한국수출보험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이를 확대하고 있다.
신보와 기보는 매년 각각 2조원 규모의 장기 부실채권을 대상으로 채권회수 위임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기보의 경우 지난해 고려신용정보, 미래신용정보, 나라신용정보, 솔로몬신용정보, 중앙신용정보 등 5곳에 채권추심 아웃소싱을 했다.
또한 수출보험공사는 올 1월 3000억원,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해 12월 52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회수를 위임한 바 있다.
기보 관계자는 “채권회수 위임금액은 기보의 상각채권 중에서 회수가능성이 가장 낮은 채권을 위임하며 통상 상각채권의 3분에 1 미만”이라고 말했다.
공사의 채권회수 위임수수료는 평균적으로 19%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균적인 금융기관의 채권회수 위임 수수료인 25%보다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웃소싱을 하는 금융기관들이 시장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저가 수수료 경쟁을 유발해 수수료는 더욱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이같은 아웃소싱은 2금융권에서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부터 삼성카드, 신한카드 등을 필두로 자체 채권추심 조직을 아웃소싱 하고 있다.
A신용카드사 관계자는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대비하고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해 채권추심 등의 업무를 아웃소싱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