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피델리티자산운용은 한국을 비롯한 인도, 미국 등 글로벌 주식시장의 역사적 움직임과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아무리 심각한 시장 위기에도 16개월이면 극복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 한 것.
실제 이번 조사 결과는 한국 및 미국, 인도 등 글로벌시장을 대상으로 해당 시장에서 6개월 수익률이 최악인 기간을 찾아, 해당 기간의 수익률이 회복되는데 얼마만큼 시간이 소요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수익률 기준 -26.35%에서 -49.52%에 이르는 최근 수십 년 내 최악의 수익률도 9개월에서 16개월 이내 극복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최악의 6개월을 포함해 2년을 버티며 투자 했을 경우 조사 대상 모든 시장에서 6.7%에서 29.9%의 초과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피델리티자산운용의 데이비드 프라우드 대표는 “역사적으로 볼 때 시장의 복원력은 일반 투자가들이 상상하는 이상으로 강력했다”면서 “최근과 같이 변동성이 심한 시기에는 시간의 힘에 의지해 긴 호흡으로 투자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투자 방법”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외환위기로 인해 1997년 7월부터 12월까지 종합주가지수(kospi)기준 -49.52%에 이르는 하락을 경험했지만, 이후 16개월내 손실을 모두 만회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더욱이 2년을 버티며 투자한 투자자들의 경우 +18.5%의 수익률을 회복 한 것으로 조사된 것.
미국의 경우도 1970년대 오일쇼크로 1974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S&P500지수가 -32.39%급락했으나 이후 9개월 이내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며, 2년 기준으로는 동 지수가 오히려 +9.4%를 기록했다.
인도의 사례 또한 마찬가지로 1992년 10월부터 1993년 3월까지 6개월간 시장 조정으로 인해 선섹스 지수가 -30.82%까지 폭락했지만 이후 9개월 이내 회복됐다. 2년 기준으로는 +29.9%의 초과 성과를 톡톡히 시현했다.
이 밖에도 글로벌 시장 기준시 회계부정 사건으로 인해 지난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MSCI World Index가 -26.35%하락했으나 15개월 이후 이전 수준을 회복했고, 2년 기준시 오히려 +6.7%상승했다.
데이비드 프라우드 대표는 “시장이 하락할 때마다 투자자들은 신규 투자를 중단하거나 투자자금을 회수 하려 하지만, 역사적으로 장기 투자시 반드시 보상을 받는 것이 밝혀졌다”면서 “시장에는 항상 고점과 저점, 그리고 시장상황에 영향을 주는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발생하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프라우드 대표는 “즉 시간의 힘을 믿고 이러한 시기를 견디어 내며 장기적인 안목을 갖는 것이 투자의 요체”라고 덧붙였다.
< 최악의 수익률로부터 회복하는데 걸린 시간과 2년 성과 현황 >
(자료 : 블룸버그, 피델리티운용)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