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우정사업본부가 민영화돼 우편사업과 예금사업, 보험사업이 각각 분리될 경우 영업시너지가 사라져 우체국보험의 실적은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정부조직이지만 공기업 성격이 강한 정통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를 공사화한 뒤 향후 민영화를 추진, 3만6000명에 달하는 중앙정부 인력의 감소 효과를 도모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우정사업본부의 민영화 이야기는 꾸준히 나왔다.
특히 우체국보험은 민간금융이 발전하지 않던 시기 저소득층,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민영보험의 보완적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 민영 생보사의 5위 수준으로 성장하였고, 저축성보험을 판매하는 등 오래전부터 민영보험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체국보험은 그동안 정부의 지급보증을 비롯한 각종 세제혜택, 건물 등 고정자산 이용, 공무원 서비스 등의 각종 혜택이 주어져 우편과 금융사업 겸업에 대한 공정경쟁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영체제 개편을 통해 우편과 금융을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해서 나왔다.
그러나 향후 우정사업본부가 민영화가 돼 우편사업과 예금사업, 보험사업이 각각 분리될 경우 영업시너지가 사라져 우체국보험의 실적은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체국보험의 신계약 보험료는 31조5520억원으로 2006회계연도기준으로 볼 때 민영 생보사의 5위 수준이다.
현재 우체국보험 상품은 보험관리사(보험설계사)를 비롯하여 기능직·일반직 공무원들과 별정국직원, 상시배달집배원까지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31조5520억원의 신계약 보험료중 보험관리사(보험설계사)가 판매한 비중은 41.3%밖에 되지 않는다.
그 외 나머지는 기능직내근자와 일반직공무원이 34.5%를 차지하는 등 보험영업을 담당하지 않는 직원들이 약 60%에 가까운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즉, 우편과 금융사업 겸업으로 인한 영업 시너지 효과가 보험영업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정사업본부가 민영화로 인해 우편사업과 예금사업, 보험사업이 각각 분리될 경우에는 우체국보험의 신계약 보험료는 최대 절반이상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영업비의 증가로 인해 당기순이익도 하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난해 우정사업본부의 총 영업비는 3조9406억원으로 이중 우편사업 영업비가 6327억원(16.1%), 금융사업 영업비는 1조4896억원(37.8%), 공통영업비가 1조6771억원(40.6%)다. 따라서 계열분리가 될 경우 우편·금융사업에서 공동으로 사용해온 공통영업비 만큼 더 사업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당기순이익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한 관계자는 “우정사업본부의 민영화로 인해 우편사업과 금융사업이 분리되면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고 전문 독립기업으로 경영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라며 “단순히 실적이 급감한다고 해서 민영화를 뒤로 미룰 것이 아니라 우편과 금융사업간 상호보조를 금지하는 WTO 서비스 협상에 부응해 투명성 제고와 금융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ha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