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메이커] ‘자본효율 극대화’ 위해 ‘지배구조’는 필수](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06103000542420755fnimage_01.jpg&nmt=18)
“저평가된 중소기업 가치 높이기 위해 향후 적극적인 투자를 계속할 계획이다”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결국 자본의 효율을 통한 신성장 동력이 필요하다”
지난 8월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KCF G:Korea Corporate Governance Fund)출범 이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장하성 교수(고려대 경영대학장)가 그동안의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지난 27일 한국IR협의회 주최로 열린 ‘국내외 기업지배구조 펀드의 운영사례와 시사점’에 발표자로 나선 장 교수는 “자본시장 경제에서 기업의 목적은 가치창출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기업지배구조펀드의 역할은 결국 이에 따른 자본의 효율성을 높여 기업의 경쟁력을 최대화 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국내 기업지배 구조 ‘첩첩산중’ = 이날 강연회에서 장 교수는 국제적으로 정평 난 다보스 포럼, CLSA, 이코노미스트 등 유수 기관과 언론들의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보고서를 예로 들어가며 기업지배구조가 기업의 경쟁력과 질을 높이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실제로 이들 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동아시아 국가 중 한국은 기업지배구조와 불투명성과 관련해 중하위권의 위치에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규모와 교육수준 등을 고려할 때 한국이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태국이나 말레이시아등의 개도국과 같은 수준이라는 것은 아직도 한국이 국가경쟁력을 키우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장 교수는 “경제위기 이후 국내 기업 경영에 많은 변화가 닥친 것은 사실이지만 국제적 수준에서 봤을 때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면서 “이에 따라 세계 경제 에서 비친 국내 상황을 점검해 보고 전략을 세워야 할 때”라고 진단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결국 한국이 자본의 효율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최대요인은 ‘기업지배구조’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는 것. 즉 많은 기업들이 상당한 유동성 현금을 가지고 있어도 기업지배구조에는 미진하게 대응해 결국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까지 촉발시켰다는 분석이다.
장 교수는 “국내경제의 핵심기반은 경쟁과 사유재산의 보호”라고 정의하며 “그러나 기업입장에서 경영권이 사유재산인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고, 결국 도전받는 경영권이 기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최근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외국계 자본의 한국투자와 관련해서 그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우선 투기와 투자의 올바른 정의를 유념하되, 기간만으로 따져 본다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평균 1년 반, 국내투자자들은 1달 반을 투자했다”고 지적했다.
◇ 중소기업 가치 높이는 적극투자 계속된다 = 한편 시장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제2, 제3의 장하성펀드의 타깃이 될 기업들의 윤곽은 올 연말이 되서야 그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일명 장하성펀드로 명명된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의 현재까지 성과에 대해 장 교수는 “출범한지 두 달 남짓이지만 성과가 양호한 편이고 연말까지 추가로 3~4개 투자기업을 공개할 계획”이라며 “향후 투자할 기업들은 태광산업, 대한화섬 같은 자산주보다는 미래현금력과 영업력 등을 위주로 고려한 유망 중소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즉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업과 절대불특정 다수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좋은 종목을 선정, 발굴하는데 노력을 기울이면서 필요하다면 비상장기업의 IPO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는 복안이다.
이어 그는 “향후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의 규모를 장기투자 방식으로 최대 3000억에서 5000억까지 키울 계획”이라며 “아울러 투자자들의 매각기한 제도도 3~5년으로 늘리는 한편 공모를 실시한다면 가능한 많은 개인투자자에게 기회를 줘 기업들에게도 안정적인 규모의 펀드로 어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경영권위협 지적과 관련, 장 교수는 “적대적 M&A는 상상력에 불과하며, 펀드운용자체에만 목적이 있다”고 반박하며 “그러나 기업이 투자할 계획도 없으면서 배당을 하지 않는 경우는 자본의 효율성을 위해하는 일이므로 적극적으로 주문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