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대형 프로젝트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터다.
그러나 최근 동향을 보면 프로젝트 지연이 다반사다. 컨설팅이나 시스템 개발이 시작돼 외부 인력이 투입되게 되면 그 기간은 곧 비용이 되기 때문에 사전 준비 작업이 철저해야 한다는 인식 때문일 것이다. 이는 당연한 일이겠지만 TFT를 구성해놓고 길게는 1년 가까이 프로젝트 착수는 하지 못한 채 사전 준비에만 매달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사업자 선정, 재검토, 또 다시 사업자 선정 같은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는 사전 작업 기간이 더욱 길어진다. 보험사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보면 이런 경우가 심심찮게 눈에 띈다. H보험사 차세대시스템 구축이 그랬고 D사 차세대시스템 구축 역시 마찬가지였다. H보험사의 경우 사업자 선정을 해놓고 무산시킨 뒤 재추진한 사례이며 D사 역시도 동일한 절차를 밟았다.
이 경우 프로젝트 지연 경위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비용 때문인 경우도 있다. IT 부문은 비용은 많이 드는 반면 이에 대한 경영진의 이해가 아직까지는 부족한 상황으로 더욱 비용에 민감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무진에서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주사업자와 계약 체결 과정에서 비용이 과다하게 초과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몇몇 이유를 들어 프로젝트를 무산시키고 사업자 선정 과정부터 재추진하기도 한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지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자원 낭비는 이 과정에서 쉽게 간과된다. 프로젝트 지연 기간이 1개월에서 2개월, 3개월로 늘어나면 여기에만 매달려 있는 TFT 인력은 그 기간을 그대로 허비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사전조사 작업을 진행하고 있기는 하겠지만 좀 더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인력의 소중한 시간이 그대로 낭비되고 있는 것이다.
금융권의 경우는 이렇게 프로젝트가 지연될 때 더욱 큰 손해를 보게 된다. 타 업종에 비해 인건비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TFT에 단 10명만 포함돼 있다 하더라도 그리고 이들이 다른 업무와 겸업하고 있어 총 시간의 단 70%만을 투자한다고 해도 인건비의 70%는 그대로 낭비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보통은 내부 인력의 인건비는 자원의 낭비에 크게 포함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있어 오로지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의 비용절감에만 매달리는 경우가 많다.
최근 보험사는 사업비 절감과 함께 내부 효율화에 매달리고 있다. IT 부문은 이중 내부 효율화 부문에서 중추 역할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비용절감에 신경 쓰다가 정작 중요한 비용절감 기회는 잃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송주영 기자 jy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