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점검] 증권사 소액결제 어떻게 되나?](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06042620482514207fnimage_01.jpg&nmt=18)
이 가운데 증권업계 결제망 가입초기투자비용의 상당부문은 유관기관 몫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예탁결제원과 증권금융 양 기관 모두 초기비용 부분에 대해서 유관기관이 부담하는 형태의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표기관 선정은 오는 28일 증권업협회에서 열릴 사장단 회의에서 결정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달 16일, 이번 달 6일과 18일에 양 기관의 발표회가 있었고 지난 21일에는 각 증권사 기획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가 개최됐다.
◆ 소액결제 첫발 내딛어 = 이번 대행기관 선정은 증권업계가 금결원망 가입을 통해 소액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첫 발자국을 뗐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동안 가입비용과 은행의 반대 등으로 장벽에 부딪혔던 증권사의 협상이 드디어 본격화된다는 것.
증권사 소액결제는 오랫 동안 준비 기간을 거쳤다. 유관기관은 지난 2004년부터 TFT를 구성해 준비 작업을 착실히 진행해왔다. 이후 올해 정부의 입장 표명으로 6월 증권사 지급결제 허용에 대한 관련 법안 통과 시점에 맞춰 준비가 본격화 됐다.
증권사는 이번 주를 거치면서 최고의사결정자의 결정에 따라 대표 유관기관을 선정하게 된다. 유관기관은 금결원과의 협의를 거치면서 지난 97년부터 10년간을 끌어왔던 금결원 망 가입에 대한 협상에 임하게 된다.
아직까지 은행의 반발이 남아있지만 증권업계가 의견을 모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증권업계는 오는 2008년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시기에 맞춰 소액결제를 위한 인프라 마련도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1000억원 이상 비용 소요될 듯 = 증권업계가 금결원 망 가입을 위해 필요한 비용은 1000억원을 훨씬 넘어가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추산금액이 1500억원 가량이 예상되고 있어 지난 97년 970억원보다도 훨씬 큰 금액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은 비용 부담 문제가 거론되면서 증권업계의 협의 진행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지난 97년 증권사가 비용부담 문제가 언급되면서 가입 협의가 무산된 일이 있다”며 “비용협의가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양 기관은 이에 대해 초기비용을 일부 부담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 같은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A유관기관 관계자는 “금결원 가입망에 대해 유관기관이 수익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증권업계 공공의 이익을 위해 추진하는 만큼 초기비용을 투자하는 형태로 모델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증권사간 협의도 이전보다는 수월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입시점에서 비용과 관련해 다시 증권사들끼리의 논의는 필요하겠지만 협의 시점 초기부터의 진통은 없으리란 예상이다.
이번 주 협상 진행할 대표기관 선정
‘안하면 안된다’는 위기의식 확산
B유관기관 관계자는 “1000억원이 넘는 비용에 대해서 모두 부담한다는 것은 힘들고 구체적인 안을 밝히긴 어렵지만 증권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안을 제출했다”며 “향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증권업계 입장 변화로 물꼬 = 증권업계는 그동안 비용 공동 분담에 대해 꺼리는 입장이었다. 최근 공인인증서 용도제한용에 대한 비용 공동 부담만 하더라도 해결되기까지 1년 6개월이란 시간이 걸렸다. 대형사, 중·소형사 등 증권사에 따라 입장이 모두 달라 입장 차를 조율하기가 만만치 않았던 것.
물론 소액결제를 위한 금결원 가입망 문제에 대해서는 위기의식 속에 긍정적인 의견을 내고 있기도 하다. 이에 대해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업계 인식이 많이 변화됐다”며 “이전에는 비용부담을 많이 부담스러워 했으나 이제는 비용 부담이 있더라도 증권업계 생존을 위해 안하면 안 된다는 것으로 방향이 전환됐다”고 말했다.
증권사 관계자는 “유관기관의 비용 대납으로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이 줄었다는 점 등에서도 증권사 경쟁력 강화에 일조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초기 투자비용에 향후 수수료 부담까지 계산하면 증권사가 내야하는 금액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예상이었다.
유관기관 등에 내야하는 수수료를 통해 향후에는 어느 정도의 비용을 보전해주겠지만 초기부터 과한 비용이 부과됐을 때 이에 대한 논의 과정에 대한 부담도 덜어지게 됐다는 것.
유관기관은 비용에 대해 이를 감수하면서 반드시 수주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송주영 기자 jy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