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부 등 정부에서도 증권사 소액결제 허용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밝힌 바 있어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우선은 법안 통과가 먼저기 때문에 대행기관과 금결원과의 협의는 하반기 이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소액결제로 영업활성화 기대치 높아 = 증권업계 대행기관 선정으로 본격화될 소액결제에 대해 증권업계는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증권사는 우선 카드결제 등 소액결제가 증권사에서 활성화되면 자산관리 영업을 위한 기반 마련에 큰 원군을 얻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소액결제가 가능해지면 고객의 현금흐름을 볼 수 있게 된다”며 “고객 소비성향을 분석해 증권업무 상품 다양화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은행권에서 구현되고 있는 CRM의 경우 고객이 거래하는 카드사와 카드 사용기록 등이 모두 기록돼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 등을 구상할 수 있게 된다.
또 지급결제 기능이 허용되고 있는 MMDA(수시입출금식 예금), 개인 저축 예금과 증권사 MMF(머니마켓펀드)의 수익률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에서 소수점의 이율만 높이더라도 편리성과 금리를 통해 증권업계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증권사 역시 소액결제를 위한 준비 작업이 하반기부터는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선 ATM기 설치 등에 대한 작업도 이르면 하반기부터는 본격화될 전망이다. 소액결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기 설치 등을 통해 증권사별 인프라 마련도 시작되게 된다.
◇ 은행 반발 대응책 마련 등 준비 = 이번 선정 후 1~2개월 동안은 대행기관이 가입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 이전의 준비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동안 증권업계의 은행권 논리에 대한 대응 작업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이 증권사의 소액결제에 대해 꺼리며 시스템에 대한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는 데 대한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하겠다는 것.
증권업계는 은행이 반대하고 있는 결제 실패로 인한 지급결제시스템 마비, 유가증권 리스크 등의 논리가 약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미 대행금융기관을 선정해 결제 실패에 의한 금융 불안 가능성을 차단하는 등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그러나 시간을 두고 은행의 반발 논리를 차단할 수 있는 대응책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증권업계는 협상이 원만하게 타결되더라도 법안 통과 등 넘어야 할 산이 남아있고 시스템 구축에만도 1년 가까운 시간이 투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표기관 선정으로 첫발을 떼게 된 금결원 망 가입 문제는 오랜 시간 동안 준비해 온 만큼 은행권 반대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가입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송주영 기자 jy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