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닫기

황 행장은 6일 오전 월례조회에서 직원들에게 "KT&G 사태를 보고 생각해볼 것이 많다"며 "우리의 자본시장이 사실상 무방비로 외국자본에 노출됐다는게 틀린 말은 아니며, 우리은행도 이런 문제에 대해서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의 역할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화두를 꺼냈다.
시장에서는 이날 황 행장의 발언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KT&G 사태에 대해 백기사 등의 형태로 직접 나서겠다는 뜻인지, 다른 사례가 발생할 경우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것인지 등 궁금증이 퍼져갔다.
우선 이날 황영기 행장의 발언이 꼭 KT&G의 백기사로 나서겠다는 의미로 직결되지는 않는 것으로 봐야할 것같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황 행장의 말이 지금 당장 KT&G의 백기사 노릇을 하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경영권 위협을 받고 있는 국내 기업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갖고 구상 또는 검토하고 있는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우리은행이 나선다면, 가장 유력한 방법은 은행의 자회사로 설립된 사모펀드인 `우리PE`를 통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 사모펀드는 아직 자금 모집이 끝나지도 않은 상태라 국내 기업 도와줄 처지로는 여의치 않다.
이에 따라 황 행장의 `우리기업 수호은행론`은 그간 펼쳐왔던 마케팅 측면에서의 토종은행론을 넘어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챙기는 `한단계 진전된` 토종은행론이라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부터 고객에게 `외인 지분율이 높은 다른은행을 이용하면 그 수익이 외국인에게
귀속되고, 우리은행만이 토종은행인 만큼 우리은행을 이용해 달라"며 `애국심 마케팅`을 시작했었다.
황 행장은 이같은 `애국심 마케팅`을 통해 내부 결집과 고객에 대한 호소력을 높이는등 적잖은 효과를 거둔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다른 은행이나 감독당국 등 외부로부터는 따가운 비난과 차가운 시선을 면치 못했다.
이에 따라 황 행장은 수차례 `토종은행으로서 권리도 있지만 이를 누리려면 의무도 이행해야 할 것`이라며 새로운 논리를 개발하는데 집중했다.
결국 `애국심마케팅`보다는 대외적인 지지도 얻을 수 있고, 훨씬 명분도 서는 `우리기업 수호은행`을 언급했다는 해석이다.
더욱이 황 행장이 취임 이래 줄곧 대출만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은행을 넘어 중소규모 기업에 직접 투자, `은행과 기업이 함께 크는 모델`을 강조해 왔음을 상기하면, 이는 명분 뿐 아니라 실리에도 손해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