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본지는 주요 SI업체의 금융사업부장을 통해 올 한해 전략을 들어본다.
<편집자주>
“기존의 사업 기회별로 이뤄지던 조직 구성과 사업 전략을 이제는 고객 중심으로 바꿔서 진행할 계획입니다.”
올해부터 새롭게 LG CNS 금융사업부를 이끌어가고 있는 정태수 상무는 앞으로는 프로젝트가 있을 때마다 TFT(태스크포스팀) 등을 구성해 고객을 대하던 조직 구성 및 전략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바꿔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LG CNS가 금융권 시장에서 어느 정도 확고한 위치를 자리매김 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주요 고객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완료된다 하더라고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어떠한 인력을 얼마나 배치할 지에 대해서는 현재 구체적인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고 김 상무는 말했다.
정 상무는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금융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시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차세대시스템 구축, 리스크 관리, BPR(업무프로세스재설계) 등 올해도 굵직한 프로젝트 수주에 나선다는 것이다. IT아웃소싱 분야도 주요 전략 분야 중 하나다.
“LG CNS는 아웃소싱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춰져 있습니다. 또 이미 그룹 계열사를 통해 아웃소싱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대형 프로젝트 수주 주력…아웃소싱 분야도
신규사업 개발…한 단계 높은 파트너 관계
정 상무는 이러한 인프라와 노하우를 갖고 향후 활성화 될 IT아웃소싱 시장에서 선점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그렇지만 절대 적자를 보면서 수주할 생각은 없다고 정 상무는 단언한다.
“SI업체들이 그동안 차별화를 제시하지 못해 고객들은 가격에만 의존하게 됐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품질로 차별화를 꾀해 가격 의존도를 낮추도록 할 것입니다.”
이밖에 LG CNS는 신규 사업 분야로 전자문서보관소 관련 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실제 보관소 사업을 운영할지, 대행을 할지, SI부분만을 진행할지 등 사업 방향은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 사업 방향은 올해 하반기에는 확정돼 본격 진행 될 예정이라고 정 상무는 밝혔다.
지난해까지 통신과 유통 분야에서 활발하게 시장을 공략했던 정 상무는 지금까지의 금융산업은 타 업종에 비해 보수적인 경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금융권은 다른 업종에 비해 인적교류나 신기술 도입이 비교적 빠르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반면 금융권에서 오랜 경험을 원합니다. 따라서 무조건 시장에 진입하기는 쉽지 않은 분야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수적인 금융권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M&A와 급변하는 환경, 치열한 경쟁 등으로 인해 신기술 도입 등 금융IT도 활발하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정 상무는 설명한다.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협력업체 구성도 기존처럼 프로젝트에 임박해 협력업체를 구하고 협의를 진행하는 것보다는 이보다는 한 단계 높은 파트너 관계를 맺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파트너 관계를 가져 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고객도, 협력업체도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는 것이다.
정 상무는 한국IBM을 거쳐 LG CNS에서 통신, 유통, 제조 등 전 산업분야의 사업부장을 두루 거쳤다. 금융사업부 이전에는 하이테크사업본부에서 서비스사업부장을 맡았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