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중소기업의 구조적 변화와 향후 정책과제`에 따르면 매출액 경상이익률을 분석한 결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10%가 넘는 중소기업의 비중은 1990년 15.9%, 2000년 19.8%, 2004년 21.6%로 날이 갈수록 증가했으며 전혀 이익을 내지 못하는 적자기업의 비중도 90년 14.7%, 2000년 20.6%, 2004년 23.3% 등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경상이익률이 5∼10%인 중간층 업체의 비중은 90년 18.7%에서 지난해 18.3%로 소폭 낮아졌고 0∼5%인 업체 비중은 50.7%에서 36.9%로 급락했다.
중소기업의 고부채비율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부채비율이 400%이상인 업체비중은 38.6%에서 22.3%로 떨어졌으나 여전히 20%대라는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업종별 분석에서도 자동차, 전기기계, 1차금속, 비금속광물, 음식료 등은 수익성이 90년 이후 크게 향상됐으나 섬유, 컴퓨터사무기기 업종은 악화됐으며 섬유, 의복모피, 가죽신발, 목재나무 등은 여전히 낮은 수익률을 지속했다.
특히 미래 혁신산업이라고 여겨져온 정보기술(IT)산업의 경우 대기업이 80년 8.9%에서 2003년 31.2%로 급상승했으나 중소기업은 5.0%에서 13.6%로 높아지는데 그쳐 대기업과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음을 극명히 보여쥤다.
또한 2003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량을 기준으로 한 상위 5대 주력업종 가운데 반도체와 1차금속, 화학제품 등 3개업종이 중복된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간 경쟁은 물론 대기업과의 경쟁도 치열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한은측은 중소기업이 대기업과의 하도급 거래를 통해 발전해온데 기인하는 것이지만 업종중복으로 상호경합이 불가피함에 따라 자금.기술.인력 등에서 열위에 있는 중소기업의 생산성.수익성 제고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기업의 부가가치율은 80년 20.1%에서 2003년 22.0%로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은 23.9%에서 20.3%로 떨어졌다.
한은측은 중소기업의 경우 근본적으로 구조적인 취약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그만 외부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는다며 중소기업이 흔들리지 않는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선 우선 구조고도화를 먼저 이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