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발생한 인터넷뱅킹 해킹 사고로 증폭된 전자금융거래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정보통신부와 약 2개월간에 걸쳐 `전자금융거래 안전성 강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지난 16일 경제정책 조정회의에서 이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대책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 금감위, 금감원,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TF팀을 구성해 마련한 것으로 해킹방지, 전자금융, 전자상거래, 공인인증서 등 4개 부문으로 세부대책이 구성돼 있다.
◇해킹방지 대응 강화
현재 금융기관별로 인터넷뱅킹에 해킹 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지만 해킹 프로그램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백신업체가 신규 해킹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체제를 구축해 해킹 방지 프로그램을 신속히 개발하는 등 적극 대응하게 된다.
또 컴퓨터 키보드의 입력 내용을 원격에서 파악하는 `상용 키로그 프로그램`을 탐지하는 백신이 보안프로그램에 포함, 설치되고 인터넷 뱅킹의 전 과정이 암호화된다.
전자금융 이용자 정보보호수칙도 제정돼 보급되며 금융 부문의 해킹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금융보안기술연구소(BITS)와 같은 전담조직의 설립이 검토된다.
◇전자금융 보안 강화
인터넷뱅킹이나 텔레뱅킹때 사용할 수 있는 보안카드의 비밀번호가 내년 3월부터 현재 35개에서 약 1천190개로 대폭 늘어난다.
금융거래때마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만들어내는 `일회용 비밀번호(OTP) 생성기`가 내년말에 도입돼 보안카드를 대체하게 된다.
또 내년말부터 인터넷뱅킹과 텔레뱅킹 고객의 보안등급에 따라 거래 한도가 차등화된다.
OTP 생성기(또는 복사 방지를 위한 HSM 방식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를 이용하면 1등급, 보안카드와 휴대전화 거래내역통보 서비스(SMS)를 이용하면 2등급, 보안카드만 사용하면 3등급이다.
개인이 인터넷뱅킹을 할 경우 1회 거래한도가 1등급은 1억원, 2등급은 5천만원, 3등급은 1천만원으로 달라진다. 지금은 거래한도가 무조건 1억원이다.
조회.이체 등 비대면 전자금융거래를 허용하지 않는 보안계좌가 신설되고 현재 각각 5회로 돼 있는 인터넷뱅킹, ARS 등 전자금융 서비스별 비밀번호 오류횟수가 통합 관리된다.
포털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금융계좌 조회 서비스가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유출을 막기 위해 올 연말에 폐지된다.
최근 일부 금융기관에서 도청으로 추정되는 텔레뱅킹 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 착신금지 전화와 공중전화, 선불카드 폰 등 발신자 추적이 불가능하거나 소유주가 불분명한 전화를 이용한 텔레뱅킹이 금지되며 도청방지 시스템의 구축도 추진된다.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입.출금 계좌 변경, 한도 증액, SMS 번호 변경 등 중요 거래 내용에 대한 금융기관의 고객 통지가 의무화된다.
증권사와 보험사는 사이버 거래를 하는 개인 고객을 위한 보안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선물 거래때도 공인인증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증권계좌 개설때 고객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핀 패드(Pin Pad)`가 도입되고 사이버 보험계약이나 보험금 지급때도 공인인증서를 사용해야 하며 1일 이체한도는 1억원 이내로 제한된다.
금융기관 창구에서 전자금융 서비스에 가입할 때 주민등록증 홀로그램, 사진, 지문 등 신분증의 위.변조를 판별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전자상거래.공인인증서 본인 확인 강화
계좌 이체를 통해 30만원 이상의 전자상거래 결제를 할 때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해야 한다.
다만 항공권 예약이나 등록금 납부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거래는 예외다.
그러나 신용카드 결제때 공인인증서의 사용 여부는 상거래 위축과 이용자 불편을 감안해 신용카드사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현재 국민.BC.외환카드는 30만원 이상 결제때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신용카드가 2008년까지 IC카드로 전환된다.
전자지불 중계업체(PG)와 카드결제 대행업체(VAN)가 고객 비밀번호를 보관하는 것이 금지되고 계좌정보 등 필요한 금융정보는 암호화해서 보관해야 한다.
공인인증서는 다른 사람에 의한 온라인 재발급을 막기 위해 인터넷뱅킹의 보안카드 입력 방식이 적용되며 보안카드 미소지자는 대면 확인을 통해 공인인증서를 재발급받을 수 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