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카드사 사장단 모임에서도 카드사간에 연체회원정보를 공유, 다중채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해 보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1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최근들어 연체가 10%이상 급증하면서 카드사들간에 연체회원 정보를 공유하는 문제를 놓고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
IMF여파로 매출액은 감소추세를 보이는데 반해 연체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어 연체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연체지도비율조차 준수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들의 연쇄도산에 이어 정리해고 등이 도입돼 회원들의 실적으로 인한 연체가 대거 발생할 전망이어서 이에 따른 대책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카드사들은 그동안은, 카드사간에 연체회원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지만 다중채무를 방지하기 위해서 1개월 이상된 연체회원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중론이다. 1개월이상 된 연체회원에 대한 정보를 카드협회에 공동DB를 구축, 카드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 현재 은행연합회 및 각 금융기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는 이미 금융거래에 문제가 생겨 황색거래자 및 적색거래자로 분류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체를 미리 방지하는 차원에서는 도움이 안되고 있다.
그러나 1개월이상된 연체회원에 대한 정보를 카드협회에 공동DB를 구축해 놓으면 이를 참고로 해당회원에 대한 카드이용을 중지시키거나 하는 조치를 취해 카드사의 부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의 다중채무 문제를 고려할때 카드협회에 1개월이상된 연체회원의 정보를 공동으로 DB를 구축해 놓자는데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회원정보유출 등을 감안할때 다소 부담돼 실현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박정룡 기자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