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실제 인력과 비용 손실이 발생된다고 관련 업체들은 토로하고 있다.
10일 금융권과 관련 IT업계에 따르면 일부 금융기관이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하거나 RFI(정보제공요청서) 등을 발송한 후 아무런 공지 없이 프로젝트를 연기하고 있어 프로젝트 참여를 준비했던 업체들은 연기된 기간만큼 고스란히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표적인 사례로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과 롯데카드 차세대시스템 구축 프로젝트가 손꼽히고 있다.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은 지난 2003년 처음 프로젝트가 진행된다고 발표한 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진행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다. 더욱이 지난해 국민은행이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자체적으로 가져가겠다고 밝혀 그동안 준비를 해왔던 많은 관련 업체들은 모두 그동안 준비해온 제안서 작업 등을 수포로 돌리게 됐다.
현재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 구축은 잦은 CIO(최고정보책임자)와 실무책임자 교체, 더딘 프로젝트 진행 등으로 인해 관련 업계는 물론 금융권에서도 관심 밖의 프로젝트로 인식되고 있다.
롯데카드도 지난해 2003년부터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위해 RFP(제안요청서)를 발송하고 사업자 접수까지 받았으나 사업자 선정 과정 중 무기한 연기한 바 있다. 이후 롯데카드는 지난해 말부터 다시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진행키 위해 준비를 시작했으나 여전히 관련업계한테는 특정 기일 없이 곧 진행한다는 말만 전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차세대시스템 구축을 위해 ISP(중장기전략)까지 수립한 BC카드도 최근 대표이사가 교체됨에 따라 차세대시스템 구축 논의가 다시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언제 다시 재논의 되는지 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고지 없이 무기한 연기된 중소형 프로젝트는 수도 없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관련 IT업계 관계자는 “프로젝트 제안서 제출 등을 비롯해 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며 “이 기간 동안에는 태스크포스팀 인력을 다른 곳에 배치하지도 못하는 등 인력 운영의 장애가 되는 상황에 프로젝트가 지연되게 되면 지연되는 기간만큼 손실을 보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금융권 관계자는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다양한 의사결정 단계를 거쳐 진행되기 때문에 당초 일정과 달리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며 “이는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상황도 있다”고 반박했다.
물론, 일부 금융권에서는 프로젝트가 연기된 만큼을 프로젝트 기간에 포함시켜 주는 등 보완책을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금융권을 고객으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관련 IT업체 관계자들은 “정확한 일정과 예가가 정해져 있는 공공프로젝트를 금융권도 어느 정도 따라줬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