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저축은행 김하중 사장<사진>은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급등으로 인한 추가부실을 막기위해 감독당국이 리스크 채권 관리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저축은행들도 이같은 문제를 인식, 피나는 자구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처럼 경영환경 악화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감독규제 완화를 주장하는 심정도 헤아릴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들이 결코 규제 이행을 회피하기 위해 규제완화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지키고 싶어도 못 지키는 심정을 이해해 줘야 한다. 지금처럼 규제를 강화한다고 해도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저축은행들이 따라가지 못한다면 상황만 더욱 악화될 뿐이다”란 것이 김하중 사장의 설명이다.
이어 “지난 IMF 외환위기 이후 경영환경이 극도로 악화되면서 불건전여신비율이 급상승했다. 이후 저축은행들은 ‘대출을 얼마나 할것인가 보다 어떻게 원금을 회수할 것인가’를 항상 고민하는 등 자구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왔고 이러한 결실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감독당국의 규제강화에 또다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저축은행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각종 특혜가 아니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을 달라는 것이다”고 말했다.
김하중 사장은 감독규제 완화와 더불어 저축은행들에 대한 차등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차등적인 규제를 적용해 저축은행들의 특색화를 유도해야 한다”며 “예를 들어 투자은행, 지역은행, 지역밀착형 서민금융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주고 이에 맞는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들도 감독당국의 신뢰 확보를 위해 더욱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