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소액신용대출 부실채권에 대해 저축은행업계는 손해를 보더라도 ‘팔자’는 입장과 경기가 회복되면 기대이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어 ‘좀더 가지고 있자’는 입장으로 첨예한 입장차이를 보여왔다.
이러한 입장차이는 최근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매입을 계획하면서 더욱 확대되고 있다.
자산관리공사는 11월부터 금융기관들과 가격협상을 통해 오는 12월부터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매입할 계획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부실채권에 대해선 개별 저축은행들과의 협상보다는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가격협상을 한 후 일괄적으로 부실채권을 매입할 방침이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달 회원사들을 상대로 부실채권 매각 의향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상당수 저축은행들이 매각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매각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저축은행중앙회 입장에서는 적정 가격을 10%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 자산관리공사와 가격협상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거래가격이 어떻게 형성될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자산관리공사 관계자는 “아직 가격협상을 하지 않은 상태로 확정적인 가격은 채권실사를 마친 후에 협상을 통해 정해질 것”이라며 “지난 2002년 발생한 채권이라면 이미 악성채권으로 분류돼 가격이 10%보다 낮겠지만 신규물량에 대해선 실사를 해봐야 알겠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2002년 채권매입당시 15%선에서 매입한 적이 있지만 지금하고는 상황이 틀리다”며 채권가격의 하락을 암시했다.
채권가격외에도 개별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채권에 대한 인식도 매각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나름대로 채권관리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는 저축은행의 경우 자체 추심수익률과 자산관리공사의 채권가격을 비교해 매각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솔저축은행 관계자는 “채권을 헐값에 넘길 생각은 없다”며 “현재 추심중이고 경기가 회복될수록 추심실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채권보유를 고집하는 것과는 반대로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고정이하여신비율 제고를 위해 매각을 단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채권추심의 경우 소액신용대출채권을 회수하느니 차라리 NPL을 매입해 추심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 관계자는 “올 연말에 대대적인 채권매각을 생각하고 있다”며 “이미 소액신용대출채권의 경우 회수의문이나 추정손실로 충당금을 쌓아놓은만큼 매각을 통해 자산건전성을 제고시키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 마디로 매각손실 발생을 감수하더라도 부실채권을 정리하고 새롭게 영업을 시작하겠다는 경영전략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업계의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지만 자체회수를 선택하던 매각을 선택하던지 간에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소액신용대출부실채권의 처리는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