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최근에 벌어진 저축은행의 M&A 백지화는 과거처럼 감독위의 경영권이전심사 반려로 인한 결과라기보다는 인수자측의 매수대급 미지급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영업정지를 받은 한마음저축은행도 인수자측의 매수대금 미지급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매각이 백지화됐고, 매각 실패에 이은 대주주의 유상증자 실패가 영업정지의 사태를 초래하게 만들었다.
부민저축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영진닷컴이 지난 8월말 LG증권과 LG그룹보유 주식을 14억에 인수키로 결정했지만 영진닷컴의 전임 대표이사가 100억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매각이 무산됐다.
이렇게 저축은행의 M&A 불발로 인해 해당 저축은행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마음저축은행의 경우 유일한 탈출구였던 M&A 무산으로 영업정지를 받았다.
부민저축은행도 새로운 인수자를 찾고 있지만 이미 한번 매각이 진행됐던 관계로 새로운 인수주체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내부적으로 M&A 무산으로 직원들의 동요는 물론 고객들에게 혹시 ‘부실저축은행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게 만들었다.
그러나 업계는 차라리 잘된 일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인수후 사건이 터졌을 경우 해당 저축은행은 물론 업계전체가 피해를 보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인수주체의 금융마인드와 경영 투명성?윤리성이 향후 해당사나 업계전체를 발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