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상호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 현항’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상위 20개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고정이하 비율은 33.9%로 저축은행업계가 아직도 소액신용대출부실로 인해 자금운용이 자유롭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특히 고정이하 비율이 꾸준히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어 업계 자산건전성·이미지 제고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2년 12월 말에 8.2%를 기록한 고정이하 비율은 지난해 말 27.4%에 이어 지난 6월 33.9%를 기록해 급증세가 날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 2002년 소액신용대출의 부실화가 저축은행업계에 큰 타격을 입혔던 만큼 현재 저축은행들 대부분이 소액신용대출을 자제하고 있는 분위기”라며 “고정이하 비율의 급증도 사실상 모수가 되는 소액신용대출금의 신규유입이 없는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면서 이미 불거진 고정이하 자산금액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저축은행 상위 20개사의 소액신용대출 규모는 총 1조2467억9100만원으로 저축은행들이 소액대출부실을 최소화하기위해 여신관리에 주력하고 있지만 경기가 극적으로 회복되지 않는 이상 부실폭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속에서 저축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FY2003 결산에서도 일부 저축은행들이 수백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고도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인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러한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으로 저축은행들이 서민 급전창구로 애용되던 소액신용대출을 꺼리게 됨에 따라 서민들의 자금난도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저축은행업계는 금감원에 서민 급전창구 활성화를 위해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기준 완화를 건의해 왔지만 금감원은 자산건전성 제고 강화를 위해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당분간 저축은행의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이 진정한 서민금융으로 발전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소액신용대출 부실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현재는 정부차원에서 이를 지원할 제도가 없기 때문에 저축은행 자체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 현황>
(단위 : 억원, %)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